눈(眼)

기륜(氣輪)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615 추천 수 0
◎ 氣輪 ○ 病因凌寒冒暑受飮寒漿肌體虛疎寒邪入內其候或痛或昏傳在白睛筋多腫赤視日如隔霧看物似生烟日久不治變成白膜黑暗難開[得效]

☞ 기륜(氣輪)

 ○ 기륜에 생긴 병의 원인은 추위와 더위를 받았거나 찬 좁쌀죽웃물을 마셨거나 몸이 허해졌을 때에 한사(寒邪)가 속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때의 증상은 혹 아프기도 하고 잘 보이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흰자위에 병이 생기면 힘줄이 벌겋게 붓는데 이때에 해를 보면 안개낀 것같이 보이고 물건을 보면 연기나는 데서 보는 것같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흰 예막[白膜]이 생겨 눈 앞이 새까맣게 되어 볼 수 없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용약(用藥)] 자모보사[子母補瀉] 613
[온역(瘟疫)]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613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2
[포(胞)] 침뜸치료[針灸法]/포 612
[근(筋)] 힘줄에 경련이 이는 것[筋?] 612
[풍(風)] 상풍증(傷風證) 612
[한(寒)] 양명병 때 좋지 못한 증상[陽明病惡候] 612
[황달(黃疸)] 주달(酒疸) 612
[침구(針灸)] 족태양방광경의 순행[足太陽膀胱經流注] 611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이빨(牙齒)] 침뜸치료[鍼灸法]/이빨 611
[목구멍(咽喉)] 인과 후는 각기 다르다[咽與喉各異] 611
[전음(前陰)] 양기를 약하게 하는 것들[弱陽諸物] 611
[부종(浮腫)] 침뜸치료[鍼灸法] 611
[해독(解毒)] 고독이나 약에 중독된 때의 맥[蠱毒中毒脈候] 611
[잡방(雜方)]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611
[눈(眼)] 육륜(肉輪) 610
[잔등(背)] 단방(單方)/등 610
[손(手)] 팔다리가 다는 것[四肢熱] 610
[기침(咳嗽)] 음식이 막혀서 생기는 해역[食塞咳逆] 610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寒熱往來] 610
[구급(救急)] 맥진법[脈候] 610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언어(言語)] 노래하는 것[歌] 609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옆구리(脇)] 식적증(息積證) 609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물고기(魚部)] 공어(?魚, 가오리) 609
[풀(草部)] 고삼(苦蔘, 너삼) 고삼실(苦參實, 너삼씨) 608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