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8곽(八廓)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602 추천 수 0
◎ 八廓之圖 ○ 天廓肺大腸傳道[得效]地廓脾與胃水穀[得效]火廓心命門抱陽[得效]水廓腎會陰[得效]風廓肝養化[得效]雷廓小腸關泉[得效]山廓膽淸淨[得效]澤廓 膀胱津液[得效]
 
☞ 8곽(八廓)

팔곽지도.png

 


 ○ 천곽(天廓)은 폐(肺)와 대장(大腸)에 속하는데 전달하는 것을 주관한다[득효]. ○ 지곽(地廓)은 비(脾)와 위(胃)에 속하는데 음식물을 주관한다[득효]. ○ 화곽(火廓)은 심과 명문(命門)에 속하는데 양을 싸고 있다[득효]. ○ 수곽(水廓)은 신에 속하는데 음을 주관한다[득효]. ○ 풍곽(風廓)은 간에 속하는데 영양과 변화시키는 것을 주관한다[득효]. ○ 뇌곽(雷廓)은 소장에 속하는데 오줌이 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을 주관한다[득효]. ○ 산곽(山廓)은 담에 속하는데 맑게 하는 것을 주관한다[득효]. ○ 택곽(澤廓)은 방광에 속하는데 진액(津液)을 주관한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기운이 끊어지는 증후[大腸絶候] 722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형태[膀胱形象] 753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방광부(膀胱腑)] 방광이 전하고 받는 것[膀胱傳受] 70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5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포(胞)] 혈고(血枯)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