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462 추천 수 0
◎ 脈法 ○ 左寸脈洪數心火炎也關脈弦而洪肝火盛也右寸關俱弦而洪肝木挾相火之勢侮肺金而乘脾土也[醫鑑] ○ 眼本火病心肝數洪右寸關見相火上衝[回春] ○ 眼見黑花者從腎虛而起診左手尺脈當沈而數者是也[類聚]

☞ 맥 보는 법[脈法]/눈

 ○ 왼쪽 촌맥(寸脈)이 홍삭(洪數)한 것은 심화(心火)가 타오르는 것이고 관맥(關脈)이 현홍(弦洪)한 것은 간화(肝火)가 왕성한 것이다. 오른쪽 촌관맥이 다 현홍한 것은 간목이 상화의 힘을 다 가지고 폐금(肺金)을 치받치면서 비토(脾土)를 억누르는 것이다[의감]. ○ 눈병은 원래 심과 간의 화로 생기는데 이때에 오른쪽 촌관에 삭홍(數洪)한 맥이 나타나는 것은 상화가 위로 치미는 것이다[회춘]. ○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腎)이 허(虛)하여 생기는 것인데 이때에는 왼쪽 손의 척맥(尺脈)이 침삭(沈數)하다[유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허로(虛勞)] 주하병(注夏病) 1013
[화(火)] 허번(虛煩) 1012
[토[吐]] 토하게 하는 약[吐藥] 1010
[신(神)]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1007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부인(婦人)]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100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꿈(夢)]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惡人欲獨處] 1006
[적취(積聚)]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1006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오줌(小便)] 열림(熱淋) 1004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목소리(聲音)] 목소리가 변한 데 두루 쓰는 약[通治聲音藥] 1003
[입과 혀(口舌)] 중설(重舌) 1003
[가슴(胸)] 냉심통(冷心痛) 1003
[가슴(胸)] 열심통(熱心痛) 1003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2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1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꿈(夢)] 정신이 꿈이 된다[魂魄爲夢] 1000
[부인(婦人)]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1000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
[꿈(夢)] 지나치게 생각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思結不睡] 997
[진액(津液)] 콧물[涕] 997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얼굴(面)] 얼굴이 시린 것[面寒] 997
[코(鼻)] 비구(鼻?) 996
[이빨(牙齒)] 아래위의 잇몸은 수양명경과 족양명경에 속한다[上下?屬手足陽明] 996
[용약(用藥)] 병은 한(寒), 습(濕), 열(熱), 조(燥)에 불과하다[人病不過寒濕熱燥] 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