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병의 원인[眼病所因]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741 추천 수 0
◎ 眼病所因 ○ 生食五辛 ○ 接熱飮食 ○ 刺頭出血多 ○ 極目遠視 ○ 夜讀細書 ○ 久處烟火 ○ 博奕不休 ○ 夜間讀書 ○ 飮酒不已 ○ 熱飡?食 ○ 抄寫多年 ○ 雕鏤細作 ○ 泣淚過多 ○ 房室不節 ○ 數向日月輪看 ○ 月下讀書 ○ 夜視星月 ○ 極目瞻視山川草木皆喪明之由也 ○ 又有馳騁?獵 ○ 冒涉風霜 ○ 迎風逐獸日夜不息皆傷目之由也[千金] ○ 眼病屬風熱與血少神勞腎虛[丹溪]

☞ 눈병의 원인[眼病所因]

 ○ 5가지 매운 것을 먹는 것. ○ 뜨거운 음식만 먹는 것. ○ 머리에 침을 놓아 피를 많이 빼는 것. ○ 애써 볼 수 있는 먼 곳만 보는 것. ○ 밤에 잔 글자를 보는 것. ○ 연기가 나는데 오랫동안 있는 것. ○ 장기나 바둑을 쉬지 않고 두는 것. ○ 밤에 오랫동안 글을 읽는 것. ○ 술을 한정없이 마시는 것. ○ 국수를 뜨겁게 하여 먹는 것. ○ 잔 글자를 여러 해 동안 쓰는 것. ○ 잔 조각을 하는 것[雕鏤細作]. ○ 눈물을 지나치게 흘리는 것.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것. ○ 해와 달을 자주 쳐다보는 것. ○ 달빛 아래에서 책을 보는 것. ○ 밤에 달과 별을 보는 것. ○ 볼 수 있는 데까지 산천초목을 오랫동안 보는 것 등은 다 눈이 상할 수 있는 원인으로 된다. ○ 또한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사냥하는 것 ○ 찬바람과 서리를 맞는 것 ○ 바람을 맞으면서 짐승을 밤낮없이 따라다니는 것은 다 눈이 상할 수 있는 원인으로 된다[천금]. ○ 눈병은 풍열(風熱)이나 혈(血)이 부족한 것, 정신이 피로한 것, 신(腎)이 허한 것 맹충 속한다[단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포(胞)] 혈고(血枯) 1205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2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6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포(胞)]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熱入血室] 1298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
[포(胞)] 단방(單方)/포 768
[포(胞)] 침뜸치료[針灸法]/포 612
[충(蟲)] 3시충(三尸蟲) 653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충(蟲)] 5장충(五臟蟲) 526
[충(蟲)] 습열로 충이 생긴다[濕熱生蟲] 842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충(蟲)]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659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충(蟲)] 주충으로 가슴앓이가 생긴 것[酒蟲心痛] 632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충(蟲)] 응성충증[應聲蟲] 504
[충(蟲)] 호혹충(狐惑蟲)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