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경진(驚振)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321 추천 수 0
◎ 驚振 ○ 因病目再被撞打變成內障日夜疼痛不能視三光前四證俱不可治不過服還睛散[得效]

☞ 경진(驚振) ○ 눈을 앓으면서 또 무엇에 맞아 내장이 되어 밤낮 아프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이다. 위의 4가지 증상은 다 치료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환정산을 먹어보는 수 밖에 없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통여침자(痛如鍼刺)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혈관동인(血灌瞳人)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옥예부만(玉瞖浮滿)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청풍(靑風)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녹풍(綠風)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황심예(黃心瞖)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새(禽部)] 창경(??) 32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눈(眼)] 흑풍(黑風) 327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풀(草部)] 삼릉(三稜) 323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해독(解毒)] 호리병박중독[苦瓠毒] 317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새(禽部)] 제고취(??嘴) 317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태환(胎患) 316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