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577 추천 수 0
◎ 肝虛雀目 ○ 雀目者日落卽不見物也[綱目] ○ 因肝虛血少時時花起或時頭疼年深則雙目盲小兒因疳得之宜蛤粉丸[得效] ○ 小兒肝疳雀目宜風疳丸[入門] ○ 晝明晩暗謂之雀目言如鳥雀之瞑便無所見也[類聚] ○ 雀目宜雀盲散[直指] ○ 雀頭取血點眼中卽效羊肝淡煮食之亦佳[本草] ○ 治鷄盲雀目用鮮地黃炒猪肝食之[種杏] ○ 牛肝作膾食之妙[俗方]

☞ 간허작목(肝虛雀目)

 ○ 작목(雀目)이라는 것은 해가 지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강목]. ○ 간이 허하여 피가 적어지면 때때로 눈 앞에 꽃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간혹 머리가 아프다가 여러 해 되면 두 눈을 다 멀게 된다. 어린이들은 감질(疳疾)로 이런 병이 생긴다. 이런 데는 합분환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어린이들이 간감(肝疳)으로 작목이 된 데는 풍감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낮에는 잘 보지만 밤에는 보지 못하는 것을 작목이라고 한다. 참새가 밤이 되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유취]. ○ 작목에는 작맹산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 참새를 잡아 대가리에서 피를 내어 눈에 떨구어 넣으면 곧 낫는다. 양의 간을 양념하지 않고 삶아서 먹는 것도 좋다[본초]. ○ 계맹작목(鷄盲雀目)을 치료하는 데는 생지황과 돼지간을 볶아서 먹는다[종행]. ○ 소간으로 회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속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간허목암(肝虛目暗) by 한닥터 *2
  2. 동의보감 처방집 작맹산(雀盲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풍감환(風疳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580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채소(菜部)] 현실(?實, 비름씨) 580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심병(審病)] 명당의 빛을 보는 방법[明堂察色] 579
[학질(?疾)] 맥 보는 법[脈法] 579
[괴질(怪疾)] 괴상한 병[怪疾] ○ 26가지가 있다. 579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79
[물고기(魚部)] 청어(靑魚) 579
[머리(頭)] 침뜸치료[鍼灸法]/머리 578
[가슴(胸)] 맥 보는 법[脈法]/가슴 578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옆구리(脇)] 비기증(肥氣證) 577
[적취(積聚)] 단방(單方) 577
[소갈(消渴)] 소갈은 각기와 서로 반대이다[消渴與脚氣相反] 577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새(禽部)] 계칙(??, 비오리) 577
[눈(眼)] 수곽(水廓) 576
[소아(小兒)] 5연과 5경[五軟五硬] 576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인부(人部)] 신생소아제(新生小兒臍) 576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젖(乳)] 단방(單方)/젖 575
[심병(審病)]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