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한닥터 2011.08.06 조회 수 400 추천 수 0
◎ 黑瞖如珠 ○ 此起在黑水上如小黑豆疼痛淚出不可用點藥乃腎虛受風熱而得宜先服羚羊角散後服補腎元[得效]
 
☞ 흑예여주(黑瞖如珠)

 ○ 이것은 눈동자에 검은콩 같은 것이 생겨 아프면서 눈물이 나오는 것인데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신(腎)이 허할 때 풍열(風熱)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먼저 영양각산을 먹고 나중에 보신원을 먹는 것이 좋다[득효].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285. 羚羊角散(영양각산) by 한닥터
  2. 방약합편 237. 羚羊角散(영양각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예막(瞖膜) by 한닥터
  4.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5. 동의보감 해정동통(蟹睛疼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포육교응(胞肉膠凝)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화예백함(花瞖白陷)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간허목암(肝虛目暗) by 한닥터 *2
  9. 동의보감 녹풍(綠風)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원예(圓翳)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영양각산(羚羊角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영양각산(羚羊角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영양각산(羚羊角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영양각산(羚羊角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보신원(補腎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물(水部)] 증기수(甑氣水) 392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풍(風)] 치와 경을 일반적으로 파상풍이라고 한다[ 與痙通稱破傷風] 393
[한(寒)] 상한에 치료할 수 없는 증[傷寒不治證] 393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잡방(雜方)] 백룡고(白龍膏) 394
[소아(小兒)]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394
[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395
[제상(諸傷)] 지렁이한테 상한 것[?蚓傷] 395
[소아(小兒)] 감사(疳瀉) 395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근(筋)] 수심주(手心主)의 경근[手心主之筋] 396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풍(風)] 파상풍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상[破傷風凶證] 396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눈병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갈라본 것[眼病易治難治辨] 397
[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397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눈(眼)] 침예(沈瞖) 398
[이빨(牙齒)] 이빨병 때 꺼릴 것[齒病禁忌] 398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내상(內傷)] 도인법(導引法) 399
[해독(解毒)] 채소중독[菜蔬毒]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