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455 추천 수 0
◎ 眯目飛塵飛絲 ○ 塵埃入目粘睛不脫或被飛絲所侵或被砂石所苦疼痛隱澁?碎不開宜用瞿麥散[得效] ○ 飛絲落眼?痛不開好墨濃磨新筆?入目中閉少時開看其絲自成塊着在眼睛上却以綿輕輕惹下卽愈未盡再點[綱目] ○ 飛絲入眼大麻子一合杵碎井水一椀浸攪却將舌浸水中涎沫自出神效一方茄子葉杵碎如麻子法尤妙[綱目] ○ 飛絲入目刮取人指甲上細屑以?頭點津唾?爪屑入眼中其絲自聚拔去又取人頭垢點入眼中絲卽出[綱目] ○ 諸物?目牛筋槌擘如絲着睛上輕?之自出又以新筆??出之又好墨磨汁點眼中立出[綱目]
 
☞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 먼지가 눈알에 들어붙어 나오지 않거나 연가시[飛絲]가 들어갔거나 모래알이 들어가서 아프고 깔깔하며 문질러도 뜰 수 없는 데는 구맥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 연가시가 눈에 들어가서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아프면서 뜰 수 없는 데는 좋은 먹을 진하게 갈아 새 붓에 묻혀 눈 안에 넣은 다음 눈을 감고 한참 있다가 떠보면 그 연가시가 덩이로 되어 눈알에 붙어 있다. 이때에 솜으로 가볍게 묻혀 내면 곧 낫는다. 낫지 않으면 다시 먹을 넣는다[강목]. ○ 연가시가 눈에 들어간 데는 삼씨(마자인)를 쓰는데 1홉을 짓찧어 우물물 1사발에 넣고 휘저은 다음 여기에 혀를 담그고 있으면 군침이 절로 나오면서 잘 낫는다. 또 한 가지 처방에는 가지잎을 짓찧어 삼씨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더욱 좋다고 하였다[강목].???????????????????????????????해석 누락??????????????????????????????? ○ 어떤 것이 눈에 들어가 나오지 않다가도 소의 힘줄을 두드려 실처럼 만든 것으로 살살 훔쳐 내면 절로 나온다. 또 새 붓에 묻혀 내기도 한다. 또는 좋은 먹을 갈아 눈에 넣어도 곧 나온다[강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투침(偸鍼) by 한닥터 *1
  2. 동의보감 처방집 구맥산(瞿麥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두부(豆腐) 564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두구(頭垢, 머리때) 509
[인부(人部)] 고이두건(故?頭巾, 묵은 이두건) 543
[인부(人部)] 이색(耳塞, 귀지) 510
[인부(人部)] 아치(牙齒, 빠진 이) 506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인부(人部)]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44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인부(人部)] 부인포의(婦人胞衣, 산후태반)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