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소아청맹(小兒靑盲)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523 추천 수 0
◎ 小兒靑盲 ○ 胎中受風五藏不和嘔吐黃汁兩眼一同視物不明無治法[得效] ○ 靑盲者瞳子黑白分明直物而不見者也[回春]

☞ 소아청맹(小兒靑盲)

 ○ 태 속에 있을 때에 풍사를 받았기 때문에 5장(五藏)이 조화되지 못해서 누런 물을 토하고 두 눈을 잘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한 치료방법은 없다[득효]. ○ 청맹(靑盲)이라는 것은 검은자위와 흰자위는 다 명확한데 물건을 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회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학질(?疾)] 담학(痰?) 944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기(氣)] 맥 보는 법[脈法] 945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대변(大便)] 화설(火泄) 946
[코(鼻)] 코 안이 허는 것[鼻瘡] 947
[가슴(胸)] 충심통(蟲心痛) 947
[허로(虛勞)] 몸에는 양이 실하고 음은 부족하다[人身陽有餘陰不足] 947
[머리(頭)]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 949
[한(寒)]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949
[한(寒)] 양명증 때 땀이 나고 갈증이 나는 것[陽明證汗渴] 952
[곽란(?亂)] 곽란의 형태와 증상[?亂形證] 952
[해독(解毒)] 금잠고독[金蠶蠱毒] 952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3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음(痰飮)] 한담(寒痰) 956
[이빨(牙齒)]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956
[허로(虛勞)] 해역증(解?證) 956
[소갈(消渴)] 주갈(酒渴) 956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비장(脾臟)] 비장이 크고 작은 것[脾臟大小] 957
[머리(頭)] 습열두통(濕熱頭痛) 957
[발(足)] 다리에는 넓적다리, 허벅지, 무릎, 종지뼈, 장딴지, 정강이, 발목이 포함된다[足領 股膝 脛腕] 957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心胃痛宜下] 958
[후음(後陰)] 수치질[牡痔] 958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기침(咳嗽)] 수천(水喘) 959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