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490 추천 수 0
◎ 讀書損目 ○ 內經曰目得血而能視然久視傷血亦能損目[綱目] ○ 久視傷血血主肝故勤書則傷肝肝傷則自生風熱熱氣上騰致目昏不可專服補藥宜服益血鎭肝明目藥自愈宜服地黃元[綱目] ○ 讀書之苦傷肝損目晋范寗目疾就張湛求方湛戱曰損讀書一減思慮二專內視三簡外觀四宜起晩五宜早眠六凡六物熬以神火下以氣篩蘊於胸中七日然後納諸方寸修之一年近能數其目睫遠視尺?之餘長服不已洞見墻壁之外矣雖是朝戱亦奇方也[本事] ○ 古人云讀書之苦傷肝損目誠然其讀書?奕等過度患目者名曰肝勞若欲治之非三年閉目不視則不可得差徒自瀉肝及諸治終是無效[資生] ○ 讀書鍼刺過度而眼痛名曰肝勞但須閉目調護[入門]

☞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 『내경』에 "눈은 혈(血)을 받아야 잘 볼 수 있다"고 씌어 있다.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하게 되고 따라서 눈도 상하게 된다[강목]. ○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한다. 혈은 간(肝)을 주관하기 때문에 글을 많이 읽으면 간이 상하고 간이 상하면 저절로 풍열(風熱)이 생기면서 열기가 올라오므로 눈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전적으로 보약만 쓰는 것은 좋지 않다. 혈을 보하고 간을 진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는 약을 쓰면 저절로 낫는다. 이런 데는 지황원을 먹는 것이 좋다[강목]. ○ 책을 지나치게 보면 간이 상하여 눈이 못 쓰게 된다. 진나라 범녕(范寧)이 눈병을 앓을 때에 장담(張湛)에게 처방을 요구하였는데 장담이 농담조로 "책을 덜 읽는 것이 첫째이고 사색을 덜하는 것이 둘째이며 눈을 감고 속으로 새기는 것을 많이 하는 것이 셋째이고 밖으로 보는 것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넷째이다. 그리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다섯째이고 일찍 자는 것이 여섯째이다. 이 6가지를 명심하고 7일 동안만 어김없이 하게 되면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1년 동안만 수양하면 가까이에서는 자기 속눈썹까지 셀 수 있게 되고 멀리에서는 자막대기 끝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담장 밖의 것도 환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고 하였다. 이것이 농담이기는 하나 역시 기묘한 방법이다[본사]. ○ 옛사람들이 책을 지나치게 오랫동안 읽으면 간이 상하고 눈이 상한다고 한 것은 참으로 옳은 말이다. 글 읽는 것과 도박을 지나치게 하여 눈을 앓는 것을 간로(肝勞)라고 한다. 이것을 치료하려면 3년 동안 눈을 감고 아무것도 보지 말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을 수 없다. 간을 사한다든가 여러 가지 치료를 한다고 해도 효과가 없을 것이다[자생]. ○ 지나치게 책을 읽거나 바느질을 하여 눈이 아픈 것을 간로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눈을 감고 조리하면서 보호하여야 한다[입문]. 

? 地黃元 ○ 經云久視傷血血主肝故傷肝而目昏肝傷則自生風熱當益血鎭肝而目自明熟地黃一兩半黃連決明子各一兩防風甘菊羌活桂心朱砂水飛沒藥各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熟水下五七十丸[得效]
지황원(地黃元) ○ 『내경』에 "오랫동안 보면 혈을 상한다"고 씌어 있다. 혈은 간을 주관하므로 간이 상하면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 간이 상하면 저절로 풍열(風熱)이 생기므로 반드시 혈을 보하고 간을 진정시켜야 눈이 저절로 밝아진다. ○ 숙지황 60g, 황련, 결명자@) 각각 40g, 방풍, 단국화(감국), 강활, 계심, 주사(수비한 것), 몰약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끼니 전에 먹는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신열(腎熱)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원(地黃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오줌(小便)]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2465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9
[허로(虛勞)]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2480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5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872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