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425 추천 수 0
◎ 哭泣喪明 ○ 黃帝問曰人之哀而涕泣者何氣使然岐伯對曰心者五藏六府之主也目者宗脈之所聚也上液之道也口鼻者氣之門戶也故悲哀愁憂則心動心動則五藏六府皆搖搖則宗脈感宗脈感則液道開液道開故涕泣出焉液者所以灌精濡空竅者也故上液之道開則泣不止泣不止則液竭液竭則精不灌精不灌則目無所見矣命曰奪精[靈樞]

☞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哭泣喪明]

 ○ 황제는 "슬퍼하면 눈물과 콧물이 나오는 것은 무슨 기가 그렇게 하게 하는가"고 물으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심은 5장 6부를 주관한다. 눈은 종맥(宗脈)이 모이는 곳이고 진액이 올라가는 길이다. 입과 코는 기(氣)의 문호(門戶)이다. 그러므로 슬퍼하거나 근심하면 마음이 움직이고 마음이 움직이면 5장 6부가 다 흔들리고 5장 6부가 흔들리면 종맥(宗脈)이 감동되며 종맥이 감동되면 진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고 진액이 통하는 길이 열리면 콧물, 눈물이 나온다. 진액은 정기에 물을 주고 구멍[空竅]들을 축여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액이 올라가는 길이 열리면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며 눈물이 멎지 않고 나오면 진액이 마른다. 진액이 마르면 정기가 물을 받지 못하고 정기가 물을 받지 못하면 눈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것을 탈정(奪精)이라고 한다"고 대답하였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3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물고기(魚部)]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37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물고기(魚部)] 즉어(?魚, 붕어) 768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물고기(魚部)] 여어(?魚, 가물치) 638
[물고기(魚部)] 만려어(鰻?魚, 뱀장어) 1058
[물고기(魚部)]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83
[물고기(魚部)] 궐어(?魚, 쏘가리) 737
[물고기(魚部)] 청어(靑魚) 579
[물고기(魚部)] 석수어(石首魚, 조기) 675
[물고기(魚部)] 치어(?魚, 숭어) 571
[물고기(魚部)] 노어(?魚, 농어) 586
[물고기(魚部)] 점어(鮎魚, 메기) 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