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한닥터 2011.08.08 조회 수 454 추천 수 1
◎ 眼病當分表裏虛實 ○ 眼之爲病在府則爲表當除風散熱在藏則爲裏當養血安神[保命] ○ 如暴失明昏澁?膜?淚皆表也宜表散以去之如昏暗不欲視物內障見黑花瞳散皆裏也宜養血補水安神以調之[入門] ○ 聖人雖言目得血而能視然血亦有太過不及也太過則目壅塞而發痛不及則目耗竭而失明故年少之人多太過年老之人多不及不可不察也[子和] ○ 眼疾所因不過虛實二者而已虛者眼目昏花腎經眞水之微也實者眼目腫痛肝經風熱之甚也實則散其風熱虛則滋其眞陰虛實相因則散熱滋陰兼之此內治之法也至於日久熱壅血凝而爲攀睛瘀肉?膜赤爛之類不假點洗外治之法則何由而得?乎[丹心]

☞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 눈병이 6부가 원인이 되어 생긴 것이면 표(表)증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풍(風)을 없애고 열을 발산시켜야 한다. 5장이 원인이 되어 생겼으면 이(裏)증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혈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켜야 한다[보명]. ○ 갑자기 보이지 않고 깔깔하며 예막(?膜)이 생기거나 눈곱과 눈물이 나오는 것은 다 표증인데 이때에는 표(表)를 풀어 주어야 한다. 잘 보이지 않아서 보고 싶지 않고 내장이 되어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며 동자가 풀어져서 커진 것은 다 이(裏)증이다. 이때에는 혈을 보하고 신수를 보하며 정신을 안정시키면서 조리하여야 한다[입문]. ○ 성인(聖人)이 눈은 혈을 받아야 잘 볼 수 있다고 하였으나 혈이 넘쳐나는 것과 부족한 경우가 있는데 혈이 넘쳐나면 눈에 혈이 막혀서 아프고 부족하면 눈에 혈이 말라서 보지 못하게 된다. 대체로 젊은이는 혈이 넘쳐나고 늙은이는 부족한데 이것을 잘 알아야 한다[자화]. ○ 눈병의 원인도 허하고 실한 것이 2가지가 있는데 허하면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신경(腎經)에 수기가 적은 것이고 실하면 눈이 붓고 아픈데 이것은 간경(肝經)에 풍열(風熱)이 심한 것이다. 실하면 그 풍열을 헤치고 허하면 그 진음(眞陰)을 북돋우어 주며 허실(虛實)이 다 원인이 되었으면 열을 헤치고 음을 북돋우는 것을 함께 해야 한다. 이상은 속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오랫동안 앓아서 열이 막히고 혈이 엉키어 어혈이나 군살이 검은자위를 덮었거나 예막이 생겼거나 벌겋게 진물었을 때에는 눈에 약을 넣고 씻어야 한다. 이런 때에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쓰지 않으면 어떻게 나을 수 있겠는가[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척감(脊疳) 461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460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0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근(筋)] 수소음(手少陰)의 경근[手少陰之筋] 459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풀(草部)] 백미(白薇) 458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8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옹저(癰疽)] 정저(?疽) 458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해독(解毒)] 약쑥중독[艾毒] 457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부인(婦人)] 해산 후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456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변증(辨證)] 3가지 허한 것과 3가지 실한 것[三虛三實] 455
[소아(小兒)] 감종(疳腫) 455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