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耳)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한닥터 2011.08.09 조회 수 798 추천 수 0
◎ 耳重聽 ○ 耳重聽宜淸神散聰耳湯地黃湯

☞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 소리가 중복해 들리는 데는 청신산, 총이탕, 지황탕 등을 쓴다. 

? 淸神散 ○ 治風氣壅耳常重聽頭目不淸白?蠶甘菊各一兩羌活荊芥木通川芎香附子防風各五錢石菖蒲甘草各二錢半右爲末每二錢食後茶淸調下或?水煎服亦可[入門]
☞ 청신산(淸神散) ○ 풍기(風氣)가 귀를 막아서 중복해서 들리고 머리와 눈이 깨끗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 백강잠, 단국화(감국) 각각 40g, 강활, 형개, 목통, 천궁, 향부자, 방풍 각각 20g, 석창포, 감초 각각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찻물에 타 먹는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 聰耳湯 ○ 治耳重聽不淸黃栢酒炒一錢當歸酒洗白芍藥酒炒生地黃酒洗川芎知母酒炒陳皮烏藥白芷防風羌活酒洗獨活酒洗薄荷蔓荊子藁本酒洗各五分細辛三分右?作一貼水煎食後服服後低頭睡一時[醫鑑]
☞ 총이탕(聰耳湯) ○ 소리가 중복해 들리거나 시원치 못한 것을 치료한다. ○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4g, 당귀(술에 씻은 것),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생지황(술에 씻은 것), 천궁,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陳皮, 오약, 백지, 방풍, 강활(술에 씻은 것), 독활(술에 씻은 것), 박하, 순비기열매(만형자), 고본(술에 씻은 것) 각각 2g, 세신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 이 약을 먹은 다음에는 머리를 낮게하고 2시간 동안 잠을 자야 한다[의감]. 

? 地黃湯 ○ 治腎經熱右耳聽事不眞每心中?意則轉覺重虛鳴疼痛磁石??爲末二兩生乾地黃酒洗一兩半枳殼羌活桑白皮防風黃芩木通各一兩甘草五錢右 末每四錢水煎日二服[本草]
지황탕(地黃湯) ○ 신경(腎經)에 열이 있어서 오른쪽 귀가 잘 들리지 않는데 마음에 맞지 않는 일이 있으면 더 들리지 않으면서 허명(虛鳴)이 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자석(달구어 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가루를 낸 것) 80g,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60g, 지각, 강활, 상백피, 방풍, 황금, 목통 각각 40g, 감초 2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6g씩 하루 두번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갑자기 귀가 먹은 것[卒聾] by 한닥터
  2. 태암 처방집 腎虛咽喉腫痛(신허인후종통) 地黃湯(지황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지황탕(地黃湯)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처방집 총이탕(聰耳湯)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청신산(淸神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혈(血)] 코피[?血] 1427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혈(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1392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귀(耳)] 소리가 중복해 들릴 때[耳重聽] 798
[이빨(牙齒)] 어혈로 이빨이 아픈 것[瘀血痛] 956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백합증(百合證) 706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소갈(消渴)] 소갈을 두루 치료하는 약[消渴通治藥] 2056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부인(婦人)] 코피[?血] 545
[부인(婦人)]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876
[부인(婦人)]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996
[소아(小兒)] 여러 가지 열[諸熱] 975
[소아(小兒)] 태열(胎熱) 514
[소아(小兒)] 단독(丹毒) 653
[소아(小兒)] 여러 가지 헌데[諸瘡] 773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