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耳)

침뜸치료[鍼灸法]/귀

한닥터 2011.08.09 조회 수 630 추천 수 0
◎ 鍼灸法 ○ 耳鳴取液門耳門中渚上關完骨臨泣陽谷前谷後谿陽谿偏歷合谷大陵太谿金門 ○ 耳聾取中渚外關和?聽會聽宮合谷商陽中衝 ○ 暴聾取天?四瀆 ○ 灸耳暴聾蒼朮長七分一頭切平一頭削尖將尖頭揷耳中於平頭上灸七壯重者二七壯覺耳內熱卽效[綱目]

☞ 침뜸치료[鍼灸法]/귀

 ○ 귀에서 소리가 나는 데는 액문(液門), 이문(耳門), 중저(中渚), 상관(上關), 완골(完骨), 임읍(臨泣), 양곡(陽谷), 전곡(前谷), 후계(後谿), 양계(陽谿), 편력(偏歷), 합곡(合谷), 대릉(大陵), 태계(太谿), 금문(金門) 혈들에 놓는다. ○ 귀가 먹은 데는 중저(中渚), 외관(外關), 화료(和?), 청회(聽會), 청궁(聽宮), 합곡(合谷), 상양(商陽), 중충(中衝) 혈들에 놓는다. ○ 갑자기 귀가 먹은 데는 천유, 사독 혈들에 놓는다. ○ 귀가 갑자기 먹은 데는 뜸을 뜨는데 창출를 길이가 7푼 되게 잘라서 한쪽 끝을 평평하게 만들고 한쪽 끝은 뾰족하게 만든 다음 뾰족한 끝은 귓속에 꽂고 평평한 끝에 7장 뜬다. 병이 심한 사람도 14장 뜨면 귓속이 뜨거워지면서 낫는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주설(酒泄) 1233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3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대변(大便)] 구설(久泄) 1126
[대변(大便)] 설사에는 양기를 끌어올리는 약을 써야 한다[泄瀉宜用升陽之藥] 822
[대변(大便)] 설사와 이질은 같지 않다[瀉與痢不同] 730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6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