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鼻)

코는 현빈의 문호이다[鼻爲玄牝之門戶]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630 추천 수 0
◎ 鼻爲玄牝之門戶 ○ 老子曰谷神不死是謂玄牝玄牝之門爲天地根綿綿若存用之不勤何謂玄牝之門答曰鼻通天氣曰玄門口通地氣曰牝戶口鼻乃玄牝之門戶也[正理]

☞ 코는 현빈의 문호이다[鼻爲玄牝之門戶]

 ○ 노자는 죽지 않은 곡신(谷神)을 현빈(玄牝)이라고 하며 현빈의 문호(門戶)는 천지의 근원으로 계속 존재하므로 피로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니 무엇이 현빈의 문호인가. 코는 맑은 기가 통하는 곳이므로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으로는 탁한 기가 통하므로 빈호(牝戶)라고 한다. 그러니 입과 코가 바로 현빈의 문호이다[정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짐승(獸部)]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호두골(虎頭骨) 호경골(虎脛骨) 호육(虎肉) 804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짐승(獸部)] 영양각(羚羊角) 영양육(羚羊肉) 632
[짐승(獸部)]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고양두(?羊頭) 고양육(?羊肉) 709
[짐승(獸部)] 궤육(?肉, 효근노루) 472
[짐승(獸部)] 장골(?骨, 노루뼈) 장육(?肉, 노루고기) 장제(?臍) 1345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짐승(獸部)] 녹용(鹿茸) 녹각(鹿角) 녹골(鹿骨) 녹수(鹿髓) 녹혈(鹿血) 녹육(鹿肉) 1193
[짐승(獸部)] 백마경(白馬莖) 백마육(白馬肉) 백마심(白馬心) 백마폐(白馬肺) 543
[짐승(獸部)] 해달(海獺, 바다수달) 672
[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1110
[짐승(獸部)] 아교(阿膠) 991
[짐승(獸部)] 백교(白膠) 녹각교(鹿角膠) 녹각상(鹿角霜) 575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짐승(獸部)] 웅지(熊脂) 웅담(熊膽) 웅뇌(熊腦) 웅골(熊骨) 웅혈(熊血) 웅장(熊掌, 곰발바닥) 626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짐승(獸部)] 사향(麝香) 사육(麝肉) 수사(水麝) 532
[짐승(獸部)] 용골(龍骨) 용치(龍齒) 자소화(紫梢花) 586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466
[새(禽部)] 자고(??, 자고새) 358
[새(禽部)] 창경(??) 328
[새(禽部)] 절지(竊脂) 290
[새(禽部)] 백구육(白鷗肉, 갈매기고기) 712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2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새(禽部)] 포곡(布穀, 뻐꾹새) 393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