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鼻)

단방(單方)/코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623 추천 수 0
◎ 單方 ○ 凡十五種

☞ 단방(單方)/코

 ○ 모두 15가지이다. 

◈ 白鹽 ○ 治酒?和津唾常擦之爲妙[得效]
☞ 백염(白鹽, 소금) ○ 술을 마셔서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한다. 물에 개어 코를 늘 문지르면 잘 낫는다[득효]. 

◈ 白礬 ○ 治鼻中?肉取枯礬末和猪脂綿?塞鼻中甚妙[本草]
☞ 백반(白礬) ○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없앤다. 백반가루(구운 것)를 돼지기름(저지)에 개어 솜에 싸서 코를 막으면 아주 잘 낫는다[본초]. 

◈ 硫黃 ○ 治鼻紅如神硫黃化開入燒酒內?三次爲末茄汁調敷三次卽效[種杏]
☞ 유황(硫黃) ○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하는데 아주 잘 낫는다. 유황을 녹여서 소주(燒酒)에 세번 담가 낸 다음 가루를 내어 가자즙(茄子汁)에 개서 세번만 바르면 곧 낫는다[종행]. 

◈ 雄黃 ○ 療鼻中?肉取棗核大塞鼻中?肉自落[本草]
☞ 웅황(雄黃, 석웅황) ○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한다. 대추씨만한 것으로 콧구멍을 막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본초]. 

◈ 輕粉 ○ 治酒?輕粉硫黃爲末和津唾擦之又輕粉硫黃乳香細辛爲末唾調付之[綱目]
☞ 경분(輕粉) ○ 술을 마셔서 코가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한다. 경분과 유황을 가루를 내어 물에 개서 문지른다. 또한 경분, 유황, 유향, 세신을 가루를 내어 물에 개어 붙이기도 한다[강목]. 

◈ 細辛 ○ 除?臭?肉與瓜?同用爲瓜丁散有人患?肉垂出外用此卽消盡[綱目]
☞ 세신(細辛, 세신) ○ 코가 메고 냄새가 나며 군살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과체와 섞으면 과정산(瓜丁散)이 된다. 어떤 사람이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이 밖에까지 나왔을 때 외용약으로 이 약을 썼는데 삭아졌다[강목]. 

◈ 芎? ○ 治鼻多涕或煎或末服竝佳[本草]
☞ 궁궁(芎?, 천궁) ○ 콧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 乾薑 ○ 治鼻塞爲末蜜和丸塞鼻中[本草]
☞ 건강(乾薑) ○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콧구멍을 막는다[본초]. 

◈ 辛夷 ○ 通鼻塞爲末?茶淸點服一錢又綿?塞鼻中[本草]
☞ 신이(辛夷, 목련꽃봉오리) ○ 코가 멘 것을 열리게 한다.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파밑(총백)과 차를 달인 물로 먹는데 조금씩 자주 먹는다. 또는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아도 된다[본초]. 

◈ ?角 ○ 治鼻塞灸爲末取少許吹入鼻中又食物入鼻不出以末吹鼻取?卽出[本草]
☞ 조각(?角, 조협) ○ 코가 멘 것을 치료한다. 볶아서 가루를 내어 조금씩 코 안에 불어넣는다. 또는 음식물이 콧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 이 약가루를 코에 불어넣은 다음 재채기를 하면 곧 나온다[본초]. 

◈ 百草霜 ○ 治久患鼻瘡膿極臭細硏爲末以冷水調下二錢[綱目]
☞ 백초상(百草霜) ○ 코에 생긴 헌데가 오래되어 고름이 나오면서 냄새가 몹시 나는 것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 먹는다[강목]. 

◈ 瓜? ○ 去鼻中?肉爲末綿?塞之或和羊脂或和細辛皆佳[本草]
☞ 과체(瓜?, 과체) ○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없앤다. 가루를 내어 솜에 싸서 코를 막는다. 양기름이나 세신과 섞어서 써도 잘 듣는다[본초]. 

◈ 胡? ○ 治?肉?爛塞鼻?肉自落[丹心]
☞ 호유(胡?, 고수) ○ 코 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한다. 짓찧어 코를 막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단심]. 

◈ 犬膽 ○ 主鼻?及鼻中?肉取瓜?細辛末和膽汁塞鼻卽效[本草]
☞ 견담(犬膽, 개쓸개) ○ 코가 몹시 막힌 것과 코 안에 군살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과체와 세신을 가루를 내어 개담즙에 개서 코를 막으면 곧 낫는다[본초]. 

◈ 狗頭骨灰 ○ 和?砂少許?鼻中?肉自化[丹心] ○ 歌曰狗頭灰一錢丁香半錢上細硏吹鼻中?肉化爲水[類聚]
☞ 구두골회(狗頭骨灰, 개대가리뼈) ○ 태워 가루를 낸 다음 망사(?砂)를 조금 섞어서 코 안에 밀어 넣으면 군살이 저절로 삭는다[단심]. ○ 『약성가(藥性歌)』에는 "개대가리뼈 태운 가루 4g에 정향 2g을 섞어서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코 안에 불어넣으면 군살이 삭아 물이 된다"고 씌어 있다[유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95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8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5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52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머리(頭)] 머리는 천곡으로서 신을 간직하고 있다[頭爲天谷以藏神] 732
[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740
[머리(頭)]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 949
[머리(頭)] 머리의 치수[頭部度數] 692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9
[머리(頭)] 맥 보는 법[脈法]/머리 642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30
[머리(頭)] 어지럼증[眩暈] 1263
[머리(頭)] 풍훈(風暈) 1160
[머리(頭)] 열훈(熱暈) 918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기훈(氣暈) 924
[머리(頭)] 습훈(濕暈) 797
[머리(頭)]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1248
[머리(頭)] 정두통(正頭痛) 1254
[머리(頭)] 편두통(偏頭痛) 1226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