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혀는 심에 속한다[舌屬心]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786 추천 수 0
◎ 舌屬心 ○ 內經曰心在竅爲舌又曰心氣通於舌心和則舌能知五味矣 ○ 舌者心之苗也[入門] ○ 舌爲心之官主嘗五味以布五藏焉心之本脈繫於舌根脾之絡脈繫於舌傍肝脈循陰器絡於舌本腎之津液出於舌端分布五藏心實主之三經爲四氣所中則舌卷不能言七情氣鬱則舌腫不能語至如心熱則舌破生瘡肝壅則出血如湧脾閉則白胎如雪此舌之爲病也[得效]

☞ 혀는 심에 속한다[舌屬心]

 ○ 『내경』에 "심(心)의 구멍은 혀이다"고 씌어 있다. 또한 "심기(心氣)가 혀에 통하기 때문에 심기가 조화되어야 혀가 5가지 맛을 잘 알 수 있다"고 씌어 있다. ○ 혀는 심(心)의 싹이다[입문]. ○ 혀는 심에 속한 기관인데 5가지 맛을 갈라서 5장에 나누어 보낸다. 심의 본 경맥은 혀뿌리와 연결되어 있다. 비의 낙맥(絡脈)은 혀의 양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간의 경맥은 생식기를 돌아서 올라와 혀 밑에 연결되어 있고 신(腎)의 진액은 혀 끝에서 나와 5장(五藏)에 퍼지는데 심이 이것을 주관한다. 심, 간, 신이 3경맥에 4가지 사기가 침범하면 혀가 가드라들기[卷] 때문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7정(七情)의 기가 몰리면 혀가 붓기 때문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심에 열이 있으면 혀가 터져서 헌데가 생기고 간기가 막히면 혀에서 피가 샘솟듯이 나오며 비기(脾氣)가 막히면 눈[雪]같은 흰 설태가 끼는데 이것은 다 혀에 병이 생긴 것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풍훈(風暈) 1160
[머리(頭)] 열훈(熱暈) 918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기훈(氣暈) 924
[머리(頭)] 허훈(虛暈) 2 1538
[머리(頭)] 습훈(濕暈) 797
[머리(頭)]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1248
[머리(頭)] 정두통(正頭痛) 1254
[머리(頭)] 편두통(偏頭痛) 1226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
[머리(頭)] 습열두통(濕熱頭痛) 957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머리(頭)] 열궐두통(熱厥頭痛) 1114
[머리(頭)] 습궐두통(濕厥頭痛) 908
[머리(頭)] 진두통 841
[머리(頭)] 취후두통 674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머리(頭)] 뇌풍증(腦風證) 1 860
[머리(頭)] 수풍증(首風證) 961
[머리(頭)] 미릉골통(眉稜骨痛) 1633
[머리(頭)] 두통 때 치료할 수 없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頭痛不治難治證] 487
[머리(頭)]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688
[머리(頭)] 숫구멍이 벌어지는 것[腦縫開裂] 475
[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886
[머리(頭)] 코에 약을 넣는 방법[ 鼻法] 627
[머리(頭)] 토하게 하는 방법[吐法]/머리 662
[머리(頭)]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684
[머리(頭)] 단방(單方)/머리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