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입술[口唇]은 비(脾)에 속한다[口唇屬脾]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705 추천 수 0
◎ 口脣屬脾 ○ 內經曰中央黃色入通於脾開竅於口故病在舌本又曰脾主口又曰脾在竅爲口 ○ 難經曰脾氣通於口脾和則能知五味矣 ○ 心主舌脾主脣口心脾二氣恒相通也[入門] ○ 脣屬脾風則?動寒則?縮熱則乾裂血虛則無色氣鬱則瘡腫脣有病則隨證以治脾可也[入門] ○ 六府之華在脣四白[內經]

☞ 입술[口唇]은 비(脾)에 속한다[口唇屬脾]

 ○ 『내경』에 "가운데의 누런 빛은 비(脾)에 통하고 비의 구멍은 입과 통해있기 때문에 비에 병이 생기면 그것이 혀뿌리에 나타난다"고 씌어 있다. 또한 "비는 입을 주관한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비(脾)의 구멍은 입이다"고 씌어 있다. ○ 『난경(難經)』에 "비기(脾氣)는 입으로 통하므로 비기가 조화되어야 5가지 맛을 잘 알게 된다"고 씌어 있다. ○ "심은 혀를 주관하고 비는 입술과 입을 주관하는데 이 심(心)과 비(脾)의 기는 서로 늘 통해 있다"고 씌어 있다[입문]. ○ 입술은 비(脾)에 속한 것인데 비에 풍사가 있으면 입술이 푸들거리고[?動] 한사가 있으면 오므라들며 열이 있으면 말라서 터지고 혈(血)이 허하면 화색이 없고 기가 몰리면 헌데가 생긴다. 그러므로 입술에 병이 생기면 그 증에 따라 비를 치료하는 것이 옳은 것이다[입문]. ○ 6부의 정화[華]는 입술 둘레에 나타난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95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8
[대변(大便)] 늙은이의 변비[老人秘結] 1073
[대변(大便)] 비약증(脾約證) 1035
[대변(大便)] 대변불통(大便不通) 1252
[대변(大便)] 도변법(導便法, 관장법) 819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머리(頭)] 머리는 천곡으로서 신을 간직하고 있다[頭爲天谷以藏神] 732
[머리(頭)] 머리에는 9개의 궁이 있다[頭有九宮] 740
[머리(頭)] 뇌는 골수의 바다이다[腦爲髓海] 949
[머리(頭)] 머리의 치수[頭部度數] 692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9
[머리(頭)] 맥 보는 법[脈法]/머리 642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30
[머리(頭)] 어지럼증[眩暈] 1263
[머리(頭)] 풍훈(風暈) 1159
[머리(頭)] 열훈(熱暈) 917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기훈(氣暈) 923
[머리(頭)] 습훈(濕暈) 797
[머리(頭)]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頭目不淸利] 1248
[머리(頭)] 정두통(正頭痛) 1252
[머리(頭)] 편두통(偏頭痛) 1226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