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중설 때 문지르는 방법[重舌擦法]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515 추천 수 0
◎ 重舌擦法 ○ 重舌極證用指去瓜先於舌下筋上擦至根漸深深擦入如此三次又用指?水取項後燕?小坑中筋自上?下至小屈深深擦入亦三次小兒若飮乳勝前則病去矣[得效]

☞ 중설 때 문지르는 방법[重舌擦法]

 ○ 중설이 심할 때에는 손가락(손톱을 깎고)으로 혀 밑의 힘줄을 위에서부터 혀 밑까지 문질러 들어가기를 세번 한다. 그 다음 손가락에 물을 바르고 목 뒤의 제비초리가 있는 곳의 힘줄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문지르는데 고개가 뒤로 젖혀질 정도로 세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세번 하여 어린이가 젖을 전보다 잘 먹게 되면 병이 다 나은 것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귀(耳)] 궐역으로 귀가 먹은 것[厥聾] 918
[내상(內傷)] 노권상(勞倦傷) 918
[제창(諸瘡)] 염창(?瘡) 918
[머리(頭)] 열훈(熱暈) 917
[목구멍(咽喉)] 급후비(急喉痺) 917
[가슴(胸)] 지결(支結) 917
[습(濕)] 주습(酒濕) 917
[얼굴(面)] 단방(單方)/얼굴 916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
[기침(咳嗽)] 울수(鬱嗽) 912
[눈(眼)]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나오는 것[衝風淚出] 911
[가슴(胸)] 비(?)에는 한증과 열증이 있다[?有寒熱] 911
[기침(咳嗽)] 풍수(風嗽) 911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
[전음(前陰)] 근산에 쓰는 약[筋疝藥] 909
[해독(解毒)] 금이나 은이나 구리나 주석이나 철에 중독된 것[金銀銅錫鐵毒] 909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머리(頭)] 습궐두통(濕厥頭痛) 908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의 증상[膀胱病證] 907
[코(鼻)] 코가 아픈 것[鼻痛] 907
[혈(血)] 단방(單方)/혈 906
[심장(心臟)]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906
[눈(眼)] 눈에 넣는 약[點眼藥] 906
[적취(積聚)] 복량에는 2가지 증이 있다[伏梁有二證] 906
[창만(脹滿)] 혈창(血脹) 치료법 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