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765 추천 수 0
◎ 小兒口舌病 ○ 小兒口瘡難用藥以大南星取中心龍眼大爲末醋調塗兒脚心甚妙[綱目] ○ 白礬或吳茱萸爲末醋調塗脚心亦效[綱目] ○ 小兒口瘡黃栢靑黛等分片腦少許爲末竹瀝調付之[入門] ○ 乳母宜服瀉心湯(方見五藏)凉膈散(方見火門) ○ 小兒口瘡薄荷汁拭口內西瓜水徐徐飮之[入門] ○ 巴豆肉一粒?爛黃丹少許和?作餠外用紙護貼眉心半刻許去之立效[丹心] ○ 重舌木舌依上法治之 ○ 小兒弄舌者脾藏有微熱令舌絡微緊故時時舒舌出也瀉黃散(方見五藏)徐徐服之若大病後弄舌者凶[錢乙]

☞ 어린이의 입 안과 혀의 병[小兒口舌病]

 ○ 어린이가 입 안이 헐어서 약을 먹이기가 어려울 때에는 천남성(큰 것)을 쓰는데 그 가운데서 용안알[龍眼]만큼 떼내어 가루를 낸 다음 식초에 개서 어린이의 발바닥 가운데 붙이면 잘 낫는다[강목]. ○ 백반이나 오수유를 가루를 내어 식초에 개서 발바닥에 붙여 주어도 낫는다[강목]. ○ 어린이의 입 안이 헌데는 황백과 청대를 같은 양으로 하여 용뇌를 조금 섞어서 가루를 낸 다음 죽력에 개서 발라 준다[입문]. ○ 어린이 어머니가 사심탕(瀉心湯,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나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써도 된다. ○ 어린이의 입 안이 헐었을 때에는 박하즙으로 입 안을 씻어 주고 수박물을 조금씩 먹인다[입문]. ○ 파두 1알의 살을 잘 짓찧어 황단을 조금 섞어서 떡처럼 납작하게 빚는다. 이것을 종이에 싸서 양 눈썹 가운데 8분 정도 붙여 두었다가 떼어도 곧 낫는다[단심]. ○ 중설(重舌)과 목설(木舌)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 어린이가 혀를 날름거리는 것은 비(脾)에 미열(微熱)이 있어서 혀로 통하는 낙맥이 약간 긴장되었기 때문인데 때때로 혀가 늘어져 나오기도 한다. 이런 데는 사황산(瀉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조금씩 먹인다. 중병을 앓은 뒤에 혀를 날름거리는 것은 좋지 않다[전을].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양격산 凉隔散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 방약합편 HK115 少陽人(소양인) 凉膈散(양격산) by 한닥터
  4. 방약합편 072. 瀉心湯(사심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심옹(心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기침이 발작하는 것은 4철에 따라 일찍 하거나 늦게 하는 차이가 있다[嗽作有四時早晏之異]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적열(積熱)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상초열(上焦熱) by 한닥터 *1
  13. 동의보감 폐열(肺熱)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화해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和不可和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음모양갈증(陰耗陽竭證)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근산에 쓰는 약[筋疝藥]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입맛이 쓴 것[口苦]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코가 메는 것[鼻塞]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by 한닥터
  28. 회원임상례 코막힘 by 관우라네 *1
  29. 동의보감 처방집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사심탕(瀉心湯) by 한닥터
  31. 방약합편 양격산- ?膈散 by 한닥터
  32. 방약합편 사심탕 - 瀉心湯 by 한닥터
  33. 청강의감 淸膈散(청격산) by 한닥터
  34. 고방 처방집 사심탕 瀉心湯方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21 양격산(凉膈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5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7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2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