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450 추천 수 0
◎ 補舌斷方 ○ 治大人小兒偶含刀在口割斷舌頭已垂落而未斷用鷄子白軟皮袋了舌頭用破血丹蜜調塗舌根斷血却以蜜調蠟稀稠得所敷在鷄子皮上盖性軟能透藥性故也常勤添敷三日舌接住方去鷄子皮只用蜜蠟勤敷七日全安[醫林] ○ 自行被跌?穿斷舌心血出不止以鵝翎?米醋頻刷斷處其血卽止仍用蒲黃杏仁鵬砂少許爲末蜜調成膏?化而安[入門] ○ 治舌頭被人咬去取諸瘡門治下疳瘡藥先以乳香沒藥煎水?口中止痛後抹上藥卽長全有效卽黑?水銀寒水石輕粉鵬砂五味方也[回春] ○ 補脣舌方用鮮蟹燒灰每二錢同乳香沒藥各二錢半塗之卽生肉如多去脣舌用川烏草烏爲末?紙一條以凉水調合貼之卽不覺疼可用刀取如流血以陳石灰塗之卽止愈後舌硬用白鷄冠血點之卽軟[醫鑑]

☞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 어른이나 어린이가 우연히 칼을 입에 물고 있다가 혀 끝을 베었는데 끊어지지는 않고 내리드리우기만 한 것을 치료하는 데는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쓴다. 이것을 혀 끝에 씌운 다음 파혈단(破血丹)을 봉밀에 타서 혀뿌리에 바른다. 그러면 피가 멎는데 그 다음 봉밀에 황랍을 묽지도 되지도 않게 타서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씌운 위에 바른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달걀 속껍질(계내금)의 성질이 연하므로 약 기운이 잘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 자주 바르면 3일 후에 혀가 다시 붙는데 이때에는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떼어 버리고 봉밀에 황랍을 타서 자주 바르기만 하여도 7일이 지나면 다 낫는다[의림]. ○ 다니다가 엎어지면서 혓바닥이 뚫렸거나 끊어져서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에는 거위깃[鵝翎]에 쌀초[米醋]를 묻혀 끊어진 곳에 자주 바르면 피가 멎는다. 그 다음 빨리 포황, 행인, 붕사를 조금씩 가루를 내서 봉밀에 고약처럼 되게 개어 입에 물고 녹여 먹으면 낫는다[입문]. ○ 사람에게 물려서 혀 끝이 터진 데는 제창문에 씌어 있는 하감창(下疳瘡)을 치료하는 약을 뿌리는데 먼저 유향과 몰약을 달인 물을 입에 머금어 아픈 것을 멈춘 다음 뿌리면 제대로 되면서 효과가 난다. 이 약은 흑연, 수은, 한수석, 경분, 붕사 등 5가지로 되어 있다[회춘]. ○ 입술과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은 신선한 게를 태워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유향, 몰약 각각 10g과 섞어서 바르는 것인데 바르면 곧 새살이 살아난다. 만약 살이 지나치게 살아나서 잘라 버리려면 오두와 초오@)을 가루를 내어 찬물에 갠 다음 종이 조각에 발라 붙여서 아픈 것을 모르게 되었을 때 칼로 베어 내면 된다. 이때에 만약 피가 나오면 오래 묵은 석회(石灰)를 발라야 곧 멎는다. 나은 다음 혀가 뜬뜬할 때에는 흰 닭의 볏에서 피를 내어 바르면 곧 연해진다[의감]. 

? 破血丹 ○ 天花粉三兩赤芍藥二兩薑黃白芷各一兩右爲末每用少許乾?或蜜調塗之[醫林]
☞ 파혈단(破血丹) ○ 천화분 120g, 적작약 80g, 강황, 백지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조금씩 뿌리거나 봉밀에 개어 바른다[의림].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맥(脈)] 5장(五臟)의 맥(脈) 447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447
[기침(咳嗽)] 재채기를 하게 하는 방법[取?法] 447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8
[살(肉)] 뜸치료[灸法]/육 448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해독(解毒)] 광물성 약중독[石藥毒] 449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근(筋)] 수양명(手陽明)의 경근[手陽明之筋] 450
[괴질(怪疾)] 몸이 뱀모양으로 붓는 것[身腫如蛇狀] 450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