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한닥터 2011.08.10 조회 수 450 추천 수 0
◎ 補舌斷方 ○ 治大人小兒偶含刀在口割斷舌頭已垂落而未斷用鷄子白軟皮袋了舌頭用破血丹蜜調塗舌根斷血却以蜜調蠟稀稠得所敷在鷄子皮上盖性軟能透藥性故也常勤添敷三日舌接住方去鷄子皮只用蜜蠟勤敷七日全安[醫林] ○ 自行被跌?穿斷舌心血出不止以鵝翎?米醋頻刷斷處其血卽止仍用蒲黃杏仁鵬砂少許爲末蜜調成膏?化而安[入門] ○ 治舌頭被人咬去取諸瘡門治下疳瘡藥先以乳香沒藥煎水?口中止痛後抹上藥卽長全有效卽黑?水銀寒水石輕粉鵬砂五味方也[回春] ○ 補脣舌方用鮮蟹燒灰每二錢同乳香沒藥各二錢半塗之卽生肉如多去脣舌用川烏草烏爲末?紙一條以凉水調合貼之卽不覺疼可用刀取如流血以陳石灰塗之卽止愈後舌硬用白鷄冠血點之卽軟[醫鑑]

☞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 어른이나 어린이가 우연히 칼을 입에 물고 있다가 혀 끝을 베었는데 끊어지지는 않고 내리드리우기만 한 것을 치료하는 데는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쓴다. 이것을 혀 끝에 씌운 다음 파혈단(破血丹)을 봉밀에 타서 혀뿌리에 바른다. 그러면 피가 멎는데 그 다음 봉밀에 황랍을 묽지도 되지도 않게 타서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씌운 위에 바른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달걀 속껍질(계내금)의 성질이 연하므로 약 기운이 잘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 자주 바르면 3일 후에 혀가 다시 붙는데 이때에는 달걀 속껍질(계내금)을 떼어 버리고 봉밀에 황랍을 타서 자주 바르기만 하여도 7일이 지나면 다 낫는다[의림]. ○ 다니다가 엎어지면서 혓바닥이 뚫렸거나 끊어져서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에는 거위깃[鵝翎]에 쌀초[米醋]를 묻혀 끊어진 곳에 자주 바르면 피가 멎는다. 그 다음 빨리 포황, 행인, 붕사를 조금씩 가루를 내서 봉밀에 고약처럼 되게 개어 입에 물고 녹여 먹으면 낫는다[입문]. ○ 사람에게 물려서 혀 끝이 터진 데는 제창문에 씌어 있는 하감창(下疳瘡)을 치료하는 약을 뿌리는데 먼저 유향과 몰약을 달인 물을 입에 머금어 아픈 것을 멈춘 다음 뿌리면 제대로 되면서 효과가 난다. 이 약은 흑연, 수은, 한수석, 경분, 붕사 등 5가지로 되어 있다[회춘]. ○ 입술과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은 신선한 게를 태워 가루를 내서 한번에 8g씩 유향, 몰약 각각 10g과 섞어서 바르는 것인데 바르면 곧 새살이 살아난다. 만약 살이 지나치게 살아나서 잘라 버리려면 오두와 초오@)을 가루를 내어 찬물에 갠 다음 종이 조각에 발라 붙여서 아픈 것을 모르게 되었을 때 칼로 베어 내면 된다. 이때에 만약 피가 나오면 오래 묵은 석회(石灰)를 발라야 곧 멎는다. 나은 다음 혀가 뜬뜬할 때에는 흰 닭의 볏에서 피를 내어 바르면 곧 연해진다[의감]. 

? 破血丹 ○ 天花粉三兩赤芍藥二兩薑黃白芷各一兩右爲末每用少許乾?或蜜調塗之[醫林]
☞ 파혈단(破血丹) ○ 천화분 120g, 적작약 80g, 강황, 백지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조금씩 뿌리거나 봉밀에 개어 바른다[의림].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머리(頭)] 습열두통(濕熱頭痛) 957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머리(頭)] 열궐두통(熱厥頭痛) 1113
[머리(頭)] 습궐두통(濕厥頭痛) 908
[머리(頭)] 진두통 841
[머리(頭)] 취후두통 673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머리(頭)] 수풍증(首風證) 961
[머리(頭)] 미릉골통(眉稜骨痛) 1633
[머리(頭)] 두통 때 치료할 수 없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頭痛不治難治證] 487
[머리(頭)]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687
[머리(頭)] 숫구멍이 벌어지는 것[腦縫開裂] 475
[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886
[머리(頭)] 코에 약을 넣는 방법[ 鼻法] 627
[머리(頭)] 토하게 하는 방법[吐法]/머리 662
[머리(頭)]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684
[머리(頭)] 단방(單方)/머리 605
[머리(頭)] 침뜸치료[鍼灸法]/머리 578
[얼굴(面)] 명당의 위치[明堂部位] 842
[얼굴(面)] 얼굴은 모든 양이 모이는 곳이다[面爲諸陽之會] 772
[얼굴(面)] 얼굴은 추위를 견딘다[人面耐寒] 661
[얼굴(面)] 얼굴의 도수[面部度數] 804
[얼굴(面)] 얼굴에 열이 있는 것[面熱] 1820
[얼굴(面)] 얼굴이 시린 것[面寒] 997
[얼굴(面)] 얼굴에 생긴 병은 주로 위에 속한다[面病專屬胃] 860
[얼굴(面)] 얼굴에 5가지 빛이 나타나는 것[面見五色] 810
[얼굴(面)] 얼굴에 생긴 대양증[面戴陽證] 1393
[얼굴(面)] 위풍증(胃風證) 1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