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塞耳鼻止牙痛方]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766 추천 수 0
◎ 塞耳鼻止牙痛方 ○ 宜用雄黃定痛膏殺蟲丸塞耳藥哭來笑去散治牙疼方

☞ 귀와 코를 막아 이빨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 처방[塞耳鼻止牙痛方]

 ○ 웅황정통고, 살충환, 귀막는 약이나 곡래소거산 등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들을 쓰는 것이 좋다. 

? 雄黃定痛膏 ○ 治牙痛大蒜二枚細辛焰硝各三錢雄黃一錢猪牙?角四錠右爲末蒜膏?爲丸梧子大每一丸將綿子?藥左邊牙疼放在左耳中右邊塞右耳良久痛止神效[綱目]
☞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마늘(대산) 2개, 세신, 염초 각각 12g, 웅황@) 4g, 조협(저아조각) 4 개, 꼬투리.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늘(대산)을 고약처럼 되게 짓찧은데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솜에 싸서 왼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왼쪽 귀를 막고 오른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오른쪽 귀를 막고 한참 있으면 아픈 것이 아주 잘 멎는다[강목]. 

? 殺蟲丸 ○ 治蟲牙痛好砒?不拘多少量加黃丹少許以黃蠟熔成一塊旋用旋丸如黃豆大用白綿包?留尾如右牙疼則塞右耳左牙疼則塞左耳兩邊疼則塞兩耳必深入耳孔一夜其蟲卽死永不復疼矣[醫鑑]
☞ 살충환(殺蟲丸) ○ 이빨이 벌레가 먹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좋은 비상(砒?) 적당한 양에 황단을 조금 넣고 녹인 황랍과 섞어서 한 덩어리로 만들어 두고 쓴다. 쓸 때에는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흰 솜에 싼 다음 꼬리가 나게 비벼서 쓰는데 오른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 귀를 막고 왼쪽 이빨이 아프면 왼쪽 귀를 막으며 양쪽 이빨이 다 아프면 양쪽 귀를 다 막되 반드시 귓속 깊이 들어가도록 막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하고 하룻밤 지나면 벌레가 다 죽기 때문에 다시는 도지지 않는다[의감]. 

? 塞耳藥 ○ 治牙疼取壁錢包胡椒末如左邊痛塞右耳右痛塞左耳手掩枕之側臥少頃額上微汗卽愈[醫鑑]
☞ 색이약(塞耳藥) ○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납거미집(壁錢包)에 후추가루를 싸서 왼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오른쪽 귀를 막고 오른쪽 이빨이 아플 때에는 왼쪽 귀를 막은 다음 손으로 가리고 베개를 베고서 모로 누워 있으면 조금 있다가 이마에 땀이 약간 나면서 낫는다[의감]. 

? 哭來笑去散 ○ 治牙齒痛神效雄黃乳香胡椒麝香?撥良薑細辛右等分爲末每用少許吹男左女右鼻中立止如牙痛?腫用紙捲藥末在內作條?香油點着?牙痛處條燒盡痛卽止[醫鑑]
☞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잘 낫는다. ○ 웅황,유향, 후추(호초), 사향, 필발, 양강, 세신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조금씩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콧구멍에 불어넣으면 곧 낫는다. 만일 이빨이 아프면서 뺨이 부었을 때에는 종이에 약가루를 말아서 심지를 만든 다음 참기름을 묻혀 불에 태우면서 그 연기를 아픈 이빨에 쏘이면 곧 낫는다[의감]. 

? 治牙疼方 ○ 雄黃沒藥各一錢細辛半錢右爲末若左邊痛用少許?入左鼻又吹入右耳若右邊疼?右鼻又吹入左耳[得效]
☞ 치아동방(治牙疼方) ○ 웅황,몰약 각각 4g, 세신 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왼쪽 이빨이 아프면 왼쪽 콧구멍에 조금 밀어 넣은 다음 오른쪽 귓구멍에 불어넣는다. 그리고 오른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 콧구멍에 밀어 넣은 다음 왼쪽 귓구멍에 불어넣는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살충환(殺蟲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옆구리(脇)] 건협통(乾脇痛) 891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부인(婦人)]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891
[황달(黃疸)] 곡달(穀疸) 치료법 890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이빨(牙齒)]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889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6
[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886
[사수(邪崇)]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886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제상(諸傷)] 매맞아 상한 것[杖傷] 885
[부인(婦人)]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884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가슴(胸)]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心痛有九種] 883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학질(?疾)] 풍학(風?) 883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이빨(牙齒)]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881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81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오줌(小便)] 오줌을 누기 힘든 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小便難外候] 880
[배(腹)]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880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9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기침(咳嗽)] 폐창증(肺脹證) 879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해야 한다[?閉宜吐] 878
[눈(眼)] ☞ 오륜의 그림 878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국물) 878
[기(氣)]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