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889 추천 수 0
◎ 牙齒疳 瘡 ○ 宜血竭散神功丸(方見上)麝香散玉池散(方見下)治牙疳藥 ○ 天疱瘡後牙疳詳見瘡類

☞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 이 병에는 혈갈산, 신공환(神功丸, 처방은 위에 있다), 사향산, 옥지산(玉池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이나 아감[牙疳]을 치료하는 약을 쓴다. ○ 천포창(天疱瘡)을 앓고 난 뒤에 생긴 치감에 대한 것은 헌데문[瘡類]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 血竭散 ○ 治牙疳惡瘡久不差蒲黃二錢龍骨枯白礬各一錢寒水石?四錢血竭五分右爲末取少許?瘡上以紙封貼[丹心]
☞ 혈갈산(血竭散) ○ 아감(牙疳)과 악창(惡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포황 8g, 용골, 백반(구운 것) 각각 4g, 한수석(불에 달군 것) 16g, 혈갈 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조금씩 헌데 위에 뿌리고 종이를 붙인다[단심]. 

? 麝香散 ○ 治疳 牙?臭爛出膿水枯白礬靑黛胡黃連蘆?各二錢半蝦?灰半錢麝香二分半右爲末每半錢?付患處加胡桐淚二錢半尤妙[直指]
☞ 사향산(麝香散) ○ 감닉창(疳 瘡)으로 잇몸이 썩어서 냄새가 나고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백반(구운 것), 청대, 호황련, 노회 각각 10g, 청개구리(蝦?, 태워 가루를 낸 것) 2g, 사향 1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헌데에 뿌리는데 호동루(胡桐淚) 10g을 넣어 쓰면 더 좋다[직지]. 

? 治牙疳藥 ○ 信砒靑黛輕粉各一錢麝香五分右爲末香油?紙上用木槌槌實收起臨臥以漿水漱淨可瘡口大小以藥紙封之至曉去藥紙漱淨勿嚥三次必效[東垣]
☞ 아감(牙疳)을 치료하는 약[治牙疳藥] ○ 신석(信砒), 청대, 경분 각각 4g, 사향 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기름에 개서 종이에 발라 나무방망이로 두드려서 두었다가 잠잘 무렵에 좁쌀죽웃물로 깨끗하게 양치한 다음 상처에 맞게 잘라서 붙인다. 다음 새벽에 그것을 떼고 깨끗하게 양치해야 하는데 삼키지는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세번 하면 반드시 낫는다[동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항문이 가렵고 아픈 것[肛門痒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by 한닥터
  8. 고방 처방집 사향산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사향산(麝香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사향산(四香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혈갈산(血竭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사향산(麝香散)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혈갈산(血竭散)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신공환(神功丸)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사향산(麝香散) by 한닥터
  17. 방약합편 122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옆구리(脇)] 건협통(乾脇痛) 891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부인(婦人)]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891
[황달(黃疸)] 곡달(穀疸) 치료법 890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膀胱外候] 889
[이빨(牙齒)]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889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6
[머리(頭)] 머리에 흰 비듬이 생기는 것[頭生白屑] 886
[사수(邪崇)]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886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제상(諸傷)] 매맞아 상한 것[杖傷] 885
[부인(婦人)]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884
[머리(頭)] 머리가 아픈 것은 반드시 6경을 갈라보아야 한다[頭痛當分六經] 883
[가슴(胸)]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心痛有九種] 883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학질(?疾)] 풍학(風?) 883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이빨(牙齒)]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881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오줌(小便)] 오줌을 누기 힘든 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小便難外候] 880
[배(腹)] 궂은 피로 배가 아픈 것[死血腹痛] 880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기침(咳嗽)] 폐창증(肺脹證) 879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해야 한다[?閉宜吐] 878
[눈(眼)] ☞ 오륜의 그림 878
[가슴(胸)] 한실결흉(寒實結胸) 878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국물) 878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7
[기(氣)]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