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투치(鬪齒)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606 추천 수 0
◎ 鬪齒 ○ 牙齒被傷打欲落點椒五錢天靈盖紅內消白芷各二錢右爲末齒動?上卽安或已落有血絲未斷者亦可?藥齒?間鬪之[入門] ○ 治打傷搖動牙齒?藜根燒灰貼動牙卽牢名?藜散[瑞竹]

☞ 투치(鬪齒)

 ○ 얻어맞아 이빨이 빠지려고 하는 데는 산초(點椒) 20g, 하수오(天靈蓋紅內消), 백지 각각 8g 등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쓰는데 흔들리는 이빨에 뿌리면 고정된다. 그리고 이빨은 이미 빠져 나왔으나 핏줄이 채 끊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약을 잇몸 사이에 뿌리고 이빨을 박아 넣으면 된다[입문]. ○ 얻아맞아서 흔들리는 이빨을 치료하는 데는 남가새뿌리(질려근)를 쓰는데 태워 가루를 내어 붙이면 든든해진다. 이것을 질려산(?藜散)이라고도 한다[서죽].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陰囊濕痒]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질려산( 藜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