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994 추천 수 0
◎ 齒病含漱方 ○ 宜用玉池散荊芥湯開笑散椒鹽散蜂窩散牙疼?漱藥

☞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 옥지산, 형개탕, 개소산, 초염산, 봉와산이나 이빨이 아플 때에 물고 양치하는 약들을 쓴다. 

? 玉池散 ○ 治風蟲牙痛動搖潰爛或變成骨槽風出膿血骨露地骨皮白芷細辛防風升麻川芎當歸槐花藁本甘草各一錢右?作一貼入生薑三片黑豆百粒煎熱漱冷吐[丹心]
☞ 옥지산(玉池散) ○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아프면서 흔들리고 잇몸이 헤어지며[爛] 혹 골조풍(骨槽風)으로 변하여 고름과 피가 나오고 이뿌리가 드러나는 것을 치료한다. ○ 지골피, 백지, 세신, 방풍, 승마, 천궁, 당귀, 괴화, 고본,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검정콩 1백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는데 식으면 뱉아 버린다[단심]. 

? 荊芥湯 ○ 治風熱齒痛荊芥薄荷升麻細辛各三錢右爲末每二錢沸湯點含漱吐之[直指]
☞ 형개탕(荊芥湯) ○ 풍열(風熱)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형개, 박하, 승마, 세신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풀어서 조금씩 물고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직지]. 

? 開笑散 ○ 治風冷齒痛白芷細辛良薑?撥川椒香附子露蜂房各等分右爲末每三錢水煎含漱或擦之[直指]
☞ 개소산(開笑散) ○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백지, 세신, 양강, 필발, 산초(천초), 향부자, 노봉방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양치하거나 가루로 이빨을 볶아도 된다[직지]. 

? 椒鹽散 ○ 治蟲牙痛川椒白鹽露蜂房各一錢右?入?白三莖煎水熱漱冷吐[直指]
☞ 초염산(椒鹽散) ○ 이빨에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산초(천초), 소금(백염), 노봉방 각각 4g. ○ 위의 약들을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직지]. 

? 蜂窩散 ○ 治風牙蟲牙痛不可忍露蜂房白?藜川椒艾葉?根荊芥細辛白芷各一錢右?水醋同煎熱漱冷吐[回春]
☞ 봉와산(蜂窩散) ○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노봉방, 백질려,산초(천초), 약쑥잎(애엽), 파뿌리, 형개, 세신, 백지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식초와 같이 넣고 달여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회춘]. 

? 牙疼?漱藥 ○ 蜂房一箇每一孔內納胡椒川椒各一粒用椀盛之入水令滿加黃栢如指大三片於內以?盖住用紙封固重湯煮一炷香盡取出淚溫?漱良久吐之[醫鑑]
☞ 아동금수약(牙疼?漱藥) ○ 말벌집(노봉방)의 매(每) 구멍 속에 후추와 산초(천초) 각각 1알씩 넣어서 사발에 담은 다음 물을 채워 넣는다. 여기에 손가락만한 황백 3조각을 넣고 접시로 덮은 다음 종이로 잘 싸 봉하고 한 대의 향불이 다 탈 동안만큼 중탕하여 꺼내서 더울 때 입에 물고 한참 동안 양치하다가 뱉아 버린다[의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아동금수약(牙疼 漱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봉와산(蜂窩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초염산(椒鹽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개소산(開笑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122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두부(豆腐) 564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두구(頭垢, 머리때) 509
[인부(人部)] 고이두건(故?頭巾, 묵은 이두건) 543
[인부(人部)] 이색(耳塞, 귀지) 510
[인부(人部)] 아치(牙齒, 빠진 이) 506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인부(人部)]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44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인부(人部)] 부인포의(婦人胞衣, 산후태반)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