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994 추천 수 0
◎ 齒病含漱方 ○ 宜用玉池散荊芥湯開笑散椒鹽散蜂窩散牙疼?漱藥

☞ 잇병에 양치질하는 처방[齒病含漱方]

 ○ 옥지산, 형개탕, 개소산, 초염산, 봉와산이나 이빨이 아플 때에 물고 양치하는 약들을 쓴다. 

? 玉池散 ○ 治風蟲牙痛動搖潰爛或變成骨槽風出膿血骨露地骨皮白芷細辛防風升麻川芎當歸槐花藁本甘草各一錢右?作一貼入生薑三片黑豆百粒煎熱漱冷吐[丹心]
☞ 옥지산(玉池散) ○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아프면서 흔들리고 잇몸이 헤어지며[爛] 혹 골조풍(骨槽風)으로 변하여 고름과 피가 나오고 이뿌리가 드러나는 것을 치료한다. ○ 지골피, 백지, 세신, 방풍, 승마, 천궁, 당귀, 괴화, 고본,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검정콩 1백알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는데 식으면 뱉아 버린다[단심]. 

? 荊芥湯 ○ 治風熱齒痛荊芥薄荷升麻細辛各三錢右爲末每二錢沸湯點含漱吐之[直指]
☞ 형개탕(荊芥湯) ○ 풍열(風熱)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형개, 박하, 승마, 세신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풀어서 조금씩 물고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직지]. 

? 開笑散 ○ 治風冷齒痛白芷細辛良薑?撥川椒香附子露蜂房各等分右爲末每三錢水煎含漱或擦之[直指]
☞ 개소산(開笑散) ○ 풍랭(風冷)으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백지, 세신, 양강, 필발, 산초(천초), 향부자, 노봉방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서 양치하거나 가루로 이빨을 볶아도 된다[직지]. 

? 椒鹽散 ○ 治蟲牙痛川椒白鹽露蜂房各一錢右?入?白三莖煎水熱漱冷吐[直指]
☞ 초염산(椒鹽散) ○ 이빨에 벌레가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산초(천초), 소금(백염), 노봉방 각각 4g. ○ 위의 약들을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직지]. 

? 蜂窩散 ○ 治風牙蟲牙痛不可忍露蜂房白?藜川椒艾葉?根荊芥細辛白芷各一錢右?水醋同煎熱漱冷吐[回春]
☞ 봉와산(蜂窩散) ○ 풍(風)으로나 벌레가 먹어 이빨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노봉방, 백질려,산초(천초), 약쑥잎(애엽), 파뿌리, 형개, 세신, 백지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식초와 같이 넣고 달여서 양치하다가 식으면 뱉아 버린다[회춘]. 

? 牙疼?漱藥 ○ 蜂房一箇每一孔內納胡椒川椒各一粒用椀盛之入水令滿加黃栢如指大三片於內以?盖住用紙封固重湯煮一炷香盡取出淚溫?漱良久吐之[醫鑑]
☞ 아동금수약(牙疼?漱藥) ○ 말벌집(노봉방)의 매(每) 구멍 속에 후추와 산초(천초) 각각 1알씩 넣어서 사발에 담은 다음 물을 채워 넣는다. 여기에 손가락만한 황백 3조각을 넣고 접시로 덮은 다음 종이로 잘 싸 봉하고 한 대의 향불이 다 탈 동안만큼 중탕하여 꺼내서 더울 때 입에 물고 한참 동안 양치하다가 뱉아 버린다[의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상한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傷寒咽痛]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이빨에 생긴 감닉창[牙齒疳 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이빨이 빠지는 것[牙齒脫落]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풍랭으로 이빨이 아픈 것[風冷痛] by 한닥터
  7. 동의보감 풍열로 이빨이 아픈 것[風熱痛]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아동금수약(牙疼 漱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봉와산(蜂窩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초염산(椒鹽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개소산(開笑散)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형개탕(荊芥湯)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122 옥지산(玉池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