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수양법[修養固齒法]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769 추천 수 0
◎ 修養固齒法 ○ 百物養生莫先口齒不漱不洗損?之媒凡暑毒酒毒常伏於口齒之間莫若時時洗漱之爲愈也晨興洗畢灌漱一口吐出掌中就掌滌眼自覺光明終身行之可爲妙法[直指] ○ 齒宜朝暮叩以會神一云以集身神若卒遇凶惡當叩左齒三十六名曰打天鍾若?邪穢叩右齒名曰?天磬若存念至眞叩中央齒名曰鳴天鼓[養性] ○ 凡人患齒不能食果菜者皆齒露也爲鹽湯含漱叩齒神效[類聚] ○ 每晨起以一捻鹽納口中以溫水含?齒及叩齒百遍爲之不絶不過五日齒卽牢密[千金] ○ 凡飮食訖輒以濃茶漱口煩?旣去而脾胃不知凡肉之在齒得茶漱滌不覺脫去而不煩挑剔也盖齒性便苦緣此漸堅牢而齒?且自去矣[延壽] ○ 食畢漱口數過齒不炷養生家晨興叩齒永無齒疾[延壽] ○ 附齒有黃黑色物似爛骨之狀者名爲齒牀治齒者先看有此物卽用疳刀掠去之否則齒不着?也[千金] ○ 一人中年得風疾上下齒常磨切相叩甚有聲響緣此得壽一百二十歲[抱朴]

☞ 이빨을 튼튼하게 하는 수양법[修養固齒法]

 ○ ㈜ 이 부분에 쓰여진 내용들은 과학성과 현실성이 전혀 없는 비위생적인 치료법들이다. 그리고 이빨을 양생하여 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 내용들은 다 허황한 말이다. ○ 여러 가지 양생법(養生法) 가운데서 입 안과 이빨을 양생하는 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양치를 하지 않거나 입 안을 가시지 않으면 벌레가 생길 수 있는 터전으로 된다. 더위독이나 술독은 항상 입 안과 이빨 사이에 잠복한다. 그러므로 때때로 입 안을 가시거나 양치하는 것이 좋다. 새벽에 일어나서 양치한 물을 한 모금 손바닥에 뱉아 눈을 씻으면 눈이 밝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일생 동안 하는 것이 좋다[직지]. ○ 아침 저녁으로 이빨을 맞쪼아서[叩] 신기를 모아야 한다. 또한 몸의 신기가 이빨에 모이게 해야 한다. 만일 험악한 일을 당했을 때에는 왼쪽 이빨을 36번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타천종(打天鍾)이라고 한다. 나쁜 병독을 예방하려면 오른쪽 이빨을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추천경(?天磬)이라고 한다. 만일 정신을 수양하려면 앞이빨을 쪼아야 하는데 이것을 명천고(鳴天鼓)라고 한다[양성]. ○ 사람들이 이빨을 앓을 때 과실과 채소를 먹지 못하는 것은 다 이뿌리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끓인 소금 물로 양치한 다음 이빨을 맞쪼으면[叩] 잘 낫는다[유취]. ○ 매일 새벽에 일어나서 소금 한줌을 입 안에 넣고 더운물을 물고 이빨을 문지른 다음 이빨을 1백번씩 맞쪼는 것을 계속하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이빨이 든든해지고 빽빽해진다[천금]. ○ 음식을 다 먹은 다음 곧 진한 찻물로 입 안을 가시면 입 안이 텁텁한 것과 이빨 때(?)가 다 없어지므로 비위(脾胃)에는 아무렇지도 않다. 이빨에 고기가 끼인 것은 찻물로 양치하고 가시면 저도 모르게 다 빠져 나온다. 그러므로 이빨을 쑤시거나 후벼 낼 필요가 없다. 대체로 이빨의 성질은 쓴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찻물을 마시면 점차 든든해지고 벌레 먹은 이빨도 저절로 낫는다[연수]. ○ 음식을 먹은 뒤에 양치를 몇 번 하면 이빨에 벌레가 먹지 않는다. 양생하는 사람은 새벽에 일어나서 이빨을 맞쪼기 때문에 일생 동안 이빨에 병이 생기지 않는다[연수]. ○ 이빨에 누렇고 검은 것이 붙어서 썩은 뼈같이 된 것을 치상(齒牀)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하려면 감창[疳]을 깎아 내는 칼로 깎아 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빨이 잇몸에 붙지 않는다[천금]. ○ 어떤 사람이 중년이 되어 풍병에 걸려서 늘 소리가 세게 나도록 위아래 이빨을 맞쪼았는데 그로 인하여 120살까지 살았다고 한다[포박].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두부(豆腐) 564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4
[곡식(穀部)] 광맥(?麥, 겉보리) 511
[곡식(穀部)] 대맥(大麥, 보리) 854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곡식(穀部)] 신국(神麴, 약누룩)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