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牙齒)

침뜸치료[鍼灸法]/이빨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611 추천 수 0
◎ 鍼灸法 ○ 靈樞曰齒痛不惡淸飮取足陽明上齒痛亦如之齒痛惡淸飮取手陽明下齒痛亦如之 ○ 手陽明有入口?齒者名曰大迎下齒?取之足太陽有入口?齒者名曰角孫上齒?取之[得效] ○ 手陽明之別名曰偏歷主齒寒痛宜取此[內經] ○ 牙痛牙槽取太谿灸之治上牙齒痛二間灸之治下牙痛委中鍼之又足內?兩尖灸之治上牙痛龍玄在列缺上靑脈中灸之治下牙痛承漿風府合谷內庭治上牙痛[綱目] ○ 齒痛灸列缺七壯永不疼又灸肩?七壯又灸耳垂下牙盡骨上三壯[得效] ○ 齒痛以線量手中指至掌後橫紋折爲四分去三分將一分於橫紋後臂中灸三壯隨左右[得效] ○ 牙疼屈手大指本節後陷中灸三壯初灸覺牙疼再灸覺牙有聲三灸疼止永不復作恐是陽谿穴也左疼灸右右疼灸左[資生] ○ 牙疼百藥不效灸兩耳當三壯立止[回春] ○ 口齒蝕生瘡灸承漿[正傳]

☞ 침뜸치료[鍼灸法]/이빨

 ○ 『영추』에 "이빨이 아플 때 찬 음식을 싫어하지 않으면 족양명경의 혈을 쓴다. 윗이빨이 아픈 데도 그 경의 혈을 쓴다. 이빨이 아플 때 찬 것을 싫어하며 수양명경의 혈을 쓴다. 아랫이빨이 아픈 데도 마찬가지다"고 씌어 있다. ○ 수양명경은 입으로 들어가서 잇몸으로 돌아가는데 그 시작한 곳이 대영(大迎)혈이다. 아랫이빨이 벌레가 먹은 데도 이 혈을 쓴다. 족태양경도 입으로 들어가서 잇몸으로 돌아가는데 그것은 각손(角孫)혈이다. 윗이빨이 벌레가 먹은 데 이 혈을 쓴다[득효]. ○ 수양명경의 별락[別名]을 편력(偏歷)혈이라고 하는데 주로 이빨이 한사로 아플 때 쓴다[내경]. ○ 이빨과 잇몸이 아플 때에는 태계(太谿)혈에 뜸을 떠야 하는데 윗이빨이 아픈 것도 낫게 한다. 이간(二間)혈에 뜸을 뜨면 아랫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위중(委中)혈에 침을 놓은 다음 양쪽 발 안쪽 복사뼈의 뾰족한 곳에 뜸을 뜨면 윗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용현혈(龍玄穴, 열결혈의 우측 푸른 맥 가운데 있다)에 뜸을 뜨면 아랫이빨이 아픈 것이 낫는다. 승장(承漿), 풍부(風府), 합곡(合谷), 내정(內庭) 혈은 윗이빨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강목]. ○ 이빨이 아플 때 열결혈에 뜸 7장을 뜨면 영원히 아프지 않게 된다. 또는 견우(肩?)혈에 뜸 7장을 뜬다. 그리고 귓방울 아래, 마지막 어금니가 돋은 데 해당되는 부위의 뼈 위에 뜸을 3장 떠도 된다[득효]. ○ 이빨이 아플 때에는 실로 가운데 손가락 끝에서부터 손바닥 뒤의 가로 간 금이 있는 데까지 재어서 4등분 하여 그 1등분의 길이로 손바닥 뒤의 가로 간 금에서 팔뚝에 댄 다음 실 끝이 닿는 곳에 뜸을 3장 뜨는데 아픈 쪽 팔에 뜬다[득효]. ○ 이빨이 아픈 데는 엄지손가락을 구부린 다음 밑마디 뒤의 움푹한 곳에 뜸 3장을 뜨는데 첫 장을 뜰 때까지는 이빨이 아픈 것이 아린다. 그리고 두번째 장을 뜨면 이빨에서 소리가 나고 세번째 장을 떠야 아픈 것이 멎는데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양계(陽谿)혈인 것같다). 그런데 왼쪽 이빨이 아프면 오른쪽에 뜨고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에 떠야 한다[자생]. ○ 어금니가 아픈 것이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을 때 양쪽 이당(耳當)혈에 뜸 3장을 뜨면 낫는다[회춘]. ○ 이빨에 벌레가 먹고 잇몸에 헌데가 났을 때에는 승장(承漿)혈에 뜸을 뜬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소아(小兒)]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437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357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