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매핵기(梅核氣)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2253 추천 수 0
◎ 梅核氣 ○ 七情氣鬱結成痰涎隨氣積聚堅大如塊在心腹間或塞咽喉如梅核粉絮樣?不出嚥不下每發欲絶逆害飮食宜四七湯[得效](方見氣門) ○ 男女或有胸喉間梅核作恙者觸事勿怒飮食勿冷[直指] ○ 梅核氣者窒碍於咽喉之間?不出嚥不下如梅核之狀是也始因喜怒太過積熱蘊隆乃成?痰鬱結致斯疾耳宜加味四七湯加味二陳湯[醫鑑]

☞ 매핵기(梅核氣)

 ○ 7정(七情)으로 기가 울결되면 담연(痰涎)이 생긴다. 그리고 이것이 기를 따라 몰리면 뜬뜬해지고 커지면서 덩어리같이 된다. 이것이 명치 밑에 있으면서 목구멍을 막게 되는데 이때에는 매화씨나 솜뭉치 같은 것이 있는 것같다. 이것은 뱉아도 나오지 않으며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발작할 때마다 숨이 끊어질 것같이 되고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데는 사칠탕(四七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 남자나 여자가 가슴과 목구멍에 매핵기가 생겨서 앓을 때에는 어떤 일을 당하여도 성내지 말고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직지]. ○ 매핵기(梅核氣)라는 것은 목구멍에 덩어리가 막혀 있는 것 같아서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으면서 매화씨 같은 것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을 말한다. 이 원인은 지나치게 기뻐하거나 몹시 성을 내서 열이 몰리고 뭉쳤기 때문에 담이 성하여 몰리고 맺힌 데 있다. 이런 데는 가미사칠탕이나 가미이진탕을 쓴다[의감]. 

? 加味四七湯 ○ 治梅核氣妙不可述紫蘇葉半夏厚朴赤茯?陳皮枳實南星縮砂神麴各一錢靑皮七分白豆?六分檳?益智仁各三分右?作一貼薑五片水煎服[醫鑑]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 매핵기(梅核氣)를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 자소엽, 반하, 후박, 적복령, 陳皮, 지실, 천남성, 사인, 신국 각각 4g, 청피 2.8g, 백두구 2.4g, 빈랑, 익지인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 加味二陳湯 ○ 治同上二陳湯加枳殼桔梗黃芩梔子蘇子白豆?各七分右?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醫鑑]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이진탕에 지각, 길경, 황금, 산치자, 자소자, 백두구 각각 2.8g을 넣는다.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교통사고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매핵기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우울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경계 정충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해수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82 사칠탕(四七湯) by 한닥터
  7. 방약합편 HK011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기천(氣喘)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기수(氣嗽)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7정으로 가슴이 아픈 것[七情心痛]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계심통(悸心痛)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담궐(痰厥)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기담(氣痰)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정충증[怔忡]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경계증[驚悸]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7기(七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by 한닥터 *1
  23. 태암 처방집 胃炎(위염) 神經性(신경성)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4. 태암 처방집 惡心乾嘔(오심건구)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5. 태암 처방집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6. 태암 처방집 胃酸過多(위산과다)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28. 회원임상례 증미이진탕을 이용한 화병치험 1례 by 기백 *1
  29.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30.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by 한닥터
  31. 회원임상례 매핵기(등업용) by 폭탄맞은불닭 *1
  32.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by 한닥터
  35.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처방집 사칠탕(四七湯)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38. 태암 처방집 梅核氣(매핵기)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by 한닥터
  39. 임상 경험방 수족혈비 - 강경희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40. 임상 경험방 우편두통 - 허인무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41. 임상 경험방 좌편두통 - 허인무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42. 방약합편 70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by 한닥터
  43. 방약합편 53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44. 방약합편 82 사칠탕(四七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남실(藍實, 쪽씨)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남전(藍澱) 435
[풀(草部)]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79
[풀(草部)] 청대(靑黛) 96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풀(草部)] 황련(黃連) 435
[풀(草部)] 낙석(絡石, 담쟁이덩굴) 벽려(??) 544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풀(草部)] 황기(黃?, 단너삼) 632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풀(草部)] 쇄양(鎖陽) 105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590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경천(景天) 441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