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곡적(穀賊)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537 추천 수 0
◎ 穀賊 ○ 穀賊者穀芒强澁藏於米而誤食之滯於咽門不能傳化故風熱倂聚與血氣搏遂令腫刺也不急治亦能殺人[直指] ○ 誤呑稻麥芒在咽間不下急取鵝口中涎灌之卽下盖鵝涎能化穀也[綱目]

☞ 곡적(穀賊)

 ○ 곡적(穀賊)이라는 것은 뻣뻣하고 깔깔한 곡식 가시랭이가 든 쌀을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 풍열이 한데 뭉쳐 혈기와 엉켜서 붓고 쑤시는 것을 말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직지]. ○ 벼나 보리의 가시랭이를 잘못 먹어서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에 거위입 안의 침을 받아서 먹으면 곧 내려가는데 그것은 거위의 침이 곡식을 잘 삭이기 때문이다[강목]. 

? 治穀賊方 ○ 琥珀松脂各五錢?砂二錢半乳香一錢二分半右爲末熔黃蠟和丸?實大常含化嚥津[類聚] ○ 又方馬牙硝硏細綿?半錢含化嚥津以差爲度又鍼刺痛處出黑血鹽湯漱口[類聚]
☞ 치곡적방(治穀賊方) ○ 호박, 송진(松脂) 각각 20g, 노사(?砂) 10g, 유향 5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녹인 황랍에 반죽한 다음 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먹는데 늘 입 안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유취]. ○ 또 한 가지 처방은 마아초(馬牙硝)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2g씩 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 것인데 나올 때까지 써야 한다. 또한 침으로 아픈 곳을 찔러 죽은 피를 빼 낸 다음 소금물로 양치하여도 된다[유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치곡적방(治穀賊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청풍(靑風) 3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4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6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