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眞捷法]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905 추천 수 0
◎ 引痰眞捷法 ○ 治喉痺冬月靑魚膽用白礬入內臨用加百草霜炒鹽少許醋調以鴨毛?藥引吐痰出如無魚膽用白礬半兩巴豆肉十枚同枯過去巴豆用礬如上法吐痰神效吐後用金鎖匙(方見上)吹之常服必用方甘桔湯最妙(方見上)[入門]

☞ 가래를 끌어 올리는데 아주 빠른 방법[引痰眞捷法]

 ○ 후비(喉痺)를 치료하는 데는 겨울에 청어쓸개 속에 넣어 두었던 백반을 쓰는데 쓸 때마다 백초상과 볶은 소금을 조금 섞어서 식초에 갠 다음 오리털에 묻혀서 코에 넣으면 가래를 끌어 올려 토하게 한다. 청어쓸개가 없으면 백반 20g을 파두 10알의 살과 함께 구워 말린다. 다음 파두살은 버리고 백반만 쓴다. 쓰는 방법은 앞에서와 같은데 가래를 토하면 신기하게 낫는다. 토한 다음에는 금쇄시(金鎖匙, 처방은 위에 있다)를 불어넣고 늘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으면 아주 좋다[입문]. 

? 去涎方 ○ 治喉痺猪牙?角五錢膽礬一錢半靑黛五分右爲末醋糊和丸櫻桃大每一丸以熟絹?在?頭上用好醋潤透將藥點在喉瘡上咬着?其涎如水卽解後服防風通聖散(方見風門)[丹心]
☞ 거연방(去涎方) ○ 후비증을 치료한다. ○ 조협(저아조각) 20g, 담반 6g, 청대 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이긴 명주천에 싸서 젓가락대가리에 잡아매어 좋은 식초에 푹 불렸다가 목 안에 넣는데 약이 인후가 헐은 데까지 닿도록 하고 젓가락을 물고 있으면 담연이 물과 같이 되면서 곧 풀린다. 그 다음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써야 한다[단심].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231 必用方甘桔湯(필용방감길탕)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인후가 막힌 것을 두루 치료하는 방법[咽喉閉通治] by 한닥터
  3. 동의보감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급후비(急喉痺)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거연방(去涎方)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금쇄시(金鎖匙) by 한닥터
  8. 방약합편 125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9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78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