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643 추천 수 0
◎ 咽喉不治證 ○ 凡咽喉閉毒氣歸心胸前腫滿氣煩促下部洞泄不止者死[得效] ○ 凡喉痺初發胸隔氣促咽喉腫痛手足厥冷氣閉不通卽死[入門] ○ 凡咽喉痺不可純用凉藥草藥目前取效上熱未除中寒復起毒氣乘入腹胸前高腫上喘下泄手足爪甲靑紫七日後全不食口如魚口者死[入門]

☞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 대체로 인후가 막히고 심(心)에 독기(毒氣)가 들어가서 앞가슴이 붓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숨이 몹시 차고 설사가 좍좍 계속 나면 죽는다[득효]. ○ 대체로 후비증(喉痺證) 초기에는 가슴이 막히고 숨이 가쁘며 목구멍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이 싸늘하며 숨이 막혀 통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곧 죽는다[입문]. ○ 대체로 목구멍이 부을 때에는 순전히 성질이 찬약이나 초약(草藥)을 써서 당장 효과를 보려고 하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 그와 같이 하면 상초의 열은 없어지지 않으면서 중초에 찬 기운만 생기게 된다. 그러면 독기(毒氣)가 그 틈을 타서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앞가슴이 몹시 붓고 숨이 차며 설사가 나고 손발톱이 청자색으로 되다가 7일이 지나서는 전혀 먹지 못하고 입이 물고기입같이 되면서 죽는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간장(肝臟)]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876
[부인(婦人)]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876
[배(腹)]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875
[신(神)] 사람의 몸에 있는 신의 이름[人身神名] 874
[해독(解毒)] 고독 때 설사하게 하는 약[下蠱藥] 874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기(氣)]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873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872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喘嗽上氣出於腎虛] 871
[언어(言語)] 담이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痰塞亡血赤爲?] 870
[학질(?疾)] 열학(熱?) 870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
[기(氣)]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869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적취(積聚)] 혈울(血鬱) 868
[부종(浮腫)] 부종의 형태와 증상[浮腫形證] 868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