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獸骨?]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705 추천 수 0
◎ 獸骨? ○ 在咽不下象牙磨水嚥下梳笏皆可用[得效] ○ 桑木上蟲屑米醋煎灌漱自下[得效] ○ 將狗倒吊起涎出盛椀徐徐嚥下其骨化爲水如神以狗善食諸骨也[回春] ○ 諸肉骨?鷄足一對燒灰水調服[類聚] ○ 獸骨?虎骨爲末水調服狸骨亦可煮汁服亦佳[本草] ○ 鷄骨魚骨?白梅肉?成大丸子綿?用綿穿在內冷藥送下?住線頭在手一嘔卽出[回春]

☞ 짐승뼈가 목에 걸린 것[獸骨?]

 ○ 짐승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상아(象牙)를 물에 갈아서 마셔야 내려간다. 상아로 만든 빗이나 홀(笏)㈜도 다 쓸 수 있다[득효]. ○ 뽕나무좀가루를 쌀초에 달여서 목구멍에 넣거나 양치를 하면 저절로 내려간다[득효]. ○ 또는 개를 거꾸로 달아 매놓고 흘리는 침을 사발에 받아서 천천히 넘겨도 걸렸던 뼈가 녹아서 물이 되는데 참으로 신기하다. 이처럼 되는 것은 개가 아무런 뼈나 다 잘 먹기 때문이다[회춘]. ○ 여러 가지 고기나 뼈가 목에 걸렸을 때에는 닭발족 한 마리 분을 태워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유취]. ○ 짐승의 뼈가 걸린 데는 범뼈를 가루를 내서 물에 타 먹는다. 삵의 뼈도 좋은데 달여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본초]. ○ 닭뼈나 물고기 가시가 걸린 데는 소금에 절인 매화열매살(白梅肉)을 쓰는데 크게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실로 꿴다. 다음 끈을 달아서 식은 차로 넘기는데 실의 한 끝은 손에 잡는다. 그다음 한번 구역질하면 곧 나온다[회춘]. 

[註] 홀(笏): 봉건사회에서 신하가 임금을 찾아갈 때 조복을 입은 다음 손에 쥐는 물건을 말하는데 1품에서 4품까지는 상아로 만들고 5품 아래는 나무로 만든다. 

? 玉屑無憂散 ○ 治諸骨?不下及纏喉風寒水石?鵬砂各三錢玄參貫衆滑石縮砂山豆根黃連甘草赤茯?荊芥穗各五錢右爲末每一錢抄入口以新水嚥下[得效]
☞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여러 가지 뼈가 목에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과 전후풍(纏喉風)을 치료한다. ○ 한수석(달군 것), 붕사 각각 12g, 현삼, 관중@), 활석, 사인, 산두근, 황련, 감초, 적복령, 형개수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떠서 깨끗한 물로 먹는다[득효].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청풍(靑風) 3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3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5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