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503 추천 수 0
◎ 誤呑諸蟲 ○ 誤呑蜈蚣在喉悶甚急取生猪血令病人吃須臾以淸油灌口中其蜈蚣滾在血中卽吐出繼以雄黃末水調服解其毒[綱目] ○ 誤呑水蛭入腹久必生育食人肝血腹痛不可忍面目黃瘦能令人死用田中乾泥一小塊小死魚三四箇將猪脂熔勻用巴豆十枚去皮硏爛入泥內爲丸菉豆大用田中冷水呑下十丸須臾大小水蛭皆下却以四物湯(方見血門)加黃?煎服調補[入門] ○ 水蛭入腹濃茶多服自下[種杏] ○ 誤呑水蛭宜食蜜卽化爲水又田中泥作丸櫻桃大白水和下一丸蛭卽下[回春]

☞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 잘못하여 왕지네(오공)를 삼킨 것이 목구멍에 걸려 있어 몹시 답답할 때에는 빨리 살아 있는 돼지의 피를 내서 먹은 다음 조금 있다가 참기름을 입 안에 떠넣으면 곧 토하는데 왕지네가 돼지피에 싸여서 나온다. 그 다음 이어서 석웅황가루를 물에 타 먹어야 독이 풀린다[강목]. ○ 잘못하여 수질을 삼켰는데 그것이 배에 들어가서 오랫동안 살아 있으면서 간에 피를 빨아먹으면 배가 참을 수 없이 아프고 얼굴이 누렇게 여위며 죽기도 한다. 이런 데는 논 가운데 있는 마른 진흙 작은 것으로 1덩어리와 죽은 물고기 작은 것으로 3-4마리를 돼지기름(저지)에 넣고 잘 끓인 다음 파두 10알을 껍질을 버리고 뭉크러지게 갈아서 넣고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10알을 찬 논물로 먹으면 조금 있다가 크고 작은 수질이 다 나온다. 그 다음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기를 넣어 달여 먹어서 조리하고 보해야 한다[입문]. ○ 수질이 배에 들어갔을 때에 진한 찻물을 많이 마시면 저절로 나온다[종행]. ○ 잘못하여 수질을 삼켰을 때에 봉밀을 먹으면 녹아서 물이 된다. 또한 논 가운데 있는 진흙을 앵두알만하게 빚어서 1알을 물에 풀어 먹어도 수질가 나온다[회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내장(內障) 1515
[눈(眼)] 원예(圓翳) 704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활예(滑翳) 536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부예(浮翳) 300
[눈(眼)] 침예(沈瞖) 398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황심예(黃心瞖) 426
[눈(眼)] 흑화예(黑花瞖) 361
[눈(眼)] 태환(胎患) 316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눈(眼)] 뇌두풍(雷頭風) 588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녹풍(綠風) 429
[눈(眼)] 오풍(烏風) 368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청풍(靑風) 3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