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한닥터 2011.08.11 조회 수 567 추천 수 0
◎ 鍼灸法 ○ 喉閉少商合谷尺澤皆鍼之[丹心] ○ 喉痺因惡血不散故也?出惡血最爲上策[綱目] ○ 咽喉腫痺鍼風府主咽喉諸病及毒氣歸心等項惡證無不效又鍼少商咽喉腫痛皆治之又鍼合谷又鍼上星治頰腫纏喉風等證又鍼足三里[得效] ○ 喉痺刺手少陰卽神門穴[綱目] ○ 喉閉刺手足少陽井卽關衝竅陰[東垣] ○ 喉痺乳蛾取少商照海太衝[東垣] ○ 咽喉閉塞取照海[靈樞] ○ 牙關不開取陽靈穴出血卽愈[得效] ○ 喉痺取豊隆涌泉關衝少商隱白少衝[綱目] ○ 累年喉痺男左女右手大指甲第一節灸二三小壯[丹心] ○ 根脚咽喉常發者耳垂珠下半寸近?骨灸七壯二七尤妙[得效] ○ 是陽明之別名曰豊隆其病氣逆則喉痺卒?宜取之[靈樞]

☞ 침뜸치료[鍼灸法]/인후

 ○ 후폐(喉閉) 때에는 소상(少商), 합곡(合谷), 척택(尺澤) 혈(穴)에 침을 놓는다[단심]. ○ 후비증은 나쁜 피가 흩어지지 못하여 생긴 것이므로 삼릉침으로 나쁜 피를 빼내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강목]. ○ 목구멍이 부어서 막힌 데는 풍부혈(風府穴)에 침을 놓는다. 이 혈은 목 안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과 독기가 심으로 들어간 것 등 목에 생기는 나쁜 증상을 주로 치료하는 데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또한 소상혈에 침을 놓아도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이 다 낫는다. 그리고 합곡혈에 침을 놓거나 상성혈(上星穴)에 침을 놓아서 볼에 생긴 부스럼[頰腫]이나 전후풍 등을 치료한다. 또한 족삼리혈(足三里穴)에 침을 놓아도 된다[득효]. ○ 후비증 때에는 수소음경(手少陰經)의 혈 즉 신문혈(神門穴)에 침을 놓는다[강목]. ○ 후비증 때에는 수족소양경(手足少陽經)의 정혈 즉 관충혈(關衝穴)과 규음혈(竅陰穴)에 침을 놓는다[동원]. ○ 후비증과 유아에는 소상(少商), 조해(照海), 태충(太衝) 혈을 쓴다[동원]. ○ 목구멍이 막힌 데는 조해혈을 쓴다[영추]. ○ 이를 악물고 벌리지 못할 때에는 양령혈(陽靈穴)에 침을 놓아 피를 빼내면 낫는다[득효]. ○ 후비증에는 풍륭(豊隆), 용천(涌泉), 관충(關衝), 소상(少商), 은백(隱白), 소충(少衝) 혈을 쓴다[강목]. ○ 여러 해 된 후비증 때에는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엄지손가락 첫마디에 작은 뜸봉으로 뜸을 2-3장 뜬다[단심]. ○ 오랫동안 인후(咽喉)증이 늘 생기는 데는 귀방울에서 약 5푼 정도 아래로 내려가 볼뼈 가까운 곳에 뜸을 7장 뜬다. 14장을 뜨면 더 좋다[득효]. ○ 족양명경의 별락[別名]을 풍륭혈(豊隆穴)이라고 한다. 이 경맥에 병이 생겨서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에 후비증이 생겨 갑자기 벙어리가 되었을 때에 이 혈을 쓴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청풍(靑風) 3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4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혼정(混睛) 353
[눈(眼)] 노육반정(努肉攀睛) 509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눈(眼)] 계관현육(鷄冠蜆肉) 476
[눈(眼)] 검생풍속(瞼生風粟) 464
[눈(眼)] 포육교응(胞肉膠凝) 494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눈(眼)] 돌기정고(突起睛高) 452
[눈(眼)] 풍기와편(風起喎偏) 472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눈(眼)] 선라첨기(旋螺尖起) 504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눈(眼)] 녹로전관(轆轤轉關)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