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頸項)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한닥터 2011.08.12 조회 수 545 추천 수 0
◎ 風府宜護 ○ 風府穴名也在腦後 ○ 內經曰巨陽者諸陽之屬也其脈連於風府故爲諸陽主氣也然則固傷寒之所自起也北人皆以毛?之南人怯弱者亦以帛護其項俗謂三角是也凡怯弱者須護其項後可也[資生]

☞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 풍부(風府)란 혈(穴)이름인데 뒷머리에 있다. ○ 『내경』에 "거양(巨陽)㈜에는 모든 양경이 속한다"고 씌어 있다. ○ 이 경맥은 풍부혈에 잇닿아 있기 때문에 모든 양경의 기(氣)를 주관한다. 그러므로 상한(傷寒)은 여기서 시작되게 된다. 북쪽에서 사는 사람은 다 털로 목을 싸고 남쪽에서 사는 사람도 허약할 때에는 비단천으로 목을 보호한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3각건[三角]이라고 한다. 대체로 허약한 사람은 뒷목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자생]. 

[註] 거양(巨陽) : 태양경과 같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곡식(穀部)] 서미(黍米, 기장쌀) 896
[곡식(穀部)] 백량미(白粱米) 472
[곡식(穀部)] 황량미(黃粱米) 565
[곡식(穀部)]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726
[곡식(穀部)] 나미(?米, 찹쌀) 나도간(?稻稈, 찰볏집) 754
[곡식(穀部)] 진름미(陳?米, 묵은 쌀) 636
[곡식(穀部)] 갱미(粳米, 멥쌀) 752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곡식(穀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1019
[곡식(穀部)]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904
[곡식(穀部)] 두황(豆黃, 콩가루) 560
[곡식(穀部)] 여두(?豆, 쥐눈이콩) 770
[곡식(穀部)] 대두(大豆, 콩) 607
[곡식(穀部)] 고어망(故魚網, 오래된 물고기그물) 880
[곡식(穀部)]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493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곡식(穀部)] 백유마유(白油麻油, 흰참깨기름) 557
[곡식(穀部)] 백유마엽(白油麻葉, 흰참깨잎) 589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곡식(穀部)] 호마유(胡麻油, 검정참깨기름) 987
[곡식(穀部)] 청양(靑?, 검정참깨잎) 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