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등(背)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한닥터 2011.08.12 조회 수 706 추천 수 0
◎ 背有三關 ○ 問背後三關?曰腦後曰玉枕關夾脊曰??關水火之際曰尾閭關乃精氣升降之道路也[正理] ○ 人之脊骨二十四節節之末名曰尾閭穴又名龍虎穴又名曹溪路又名三?路又名河車路又名朝天嶺又名上天梯 ○ 尾閭穴之骨頭圓如潼金上有九竅內外相連卽泥丸宮也 ○ 脊骨兩傍三條逕路上衝直至頂門泥丸宮下降復至丹田復連至尾閭穴 ○ 尾閭穴乃下關也從下至上十八節乃中關也泥丸宮爲上關此三關也[正理]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기(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간장(肝臟)]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876
[부인(婦人)]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産後發熱] 876
[배(腹)] 담음으로 배가 아픈 것[痰飮腹痛] 875
[신(神)] 사람의 몸에 있는 신의 이름[人身神名] 874
[해독(解毒)] 고독 때 설사하게 하는 약[下蠱藥] 874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기(氣)]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873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가슴(胸)] 비증(?證)을 치료하는 방법[?證治法] 872
[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872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喘嗽上氣出於腎虛] 871
[언어(言語)] 담이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도 또한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痰塞亡血赤爲?] 870
[학질(?疾)] 열학(熱?) 870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
[기(氣)]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869
[신(神)] 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五味生神] 868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가슴(胸)] 수결흉(水結胸) 868
[습(濕)]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濕病大汗則成?] 868
[적취(積聚)] 혈울(血鬱) 868
[부종(浮腫)] 부종의 형태와 증상[浮腫形證] 868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황달(黃疸)] 황달을 두루 치료하는 약[黃疸通治藥] 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