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등(背)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한닥터 2011.08.12 조회 수 706 추천 수 0
◎ 背有三關 ○ 問背後三關?曰腦後曰玉枕關夾脊曰??關水火之際曰尾閭關乃精氣升降之道路也[正理] ○ 人之脊骨二十四節節之末名曰尾閭穴又名龍虎穴又名曹溪路又名三?路又名河車路又名朝天嶺又名上天梯 ○ 尾閭穴之骨頭圓如潼金上有九竅內外相連卽泥丸宮也 ○ 脊骨兩傍三條逕路上衝直至頂門泥丸宮下降復至丹田復連至尾閭穴 ○ 尾閭穴乃下關也從下至上十八節乃中關也泥丸宮爲上關此三關也[正理]

☞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 등뒤에 3관이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머리뒷꼭지를 옥침관(玉枕關)이라고 하고 등뼈의 양쪽 옆을 녹로관(??關)이라고 하며 수(水)와 화(火)가 사귀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곳이 바로 정기(精氣)가 오르내리는 길이다[정리]. ○ 사람의 척골(脊骨)은 24개의 마디로 되어 있는데 그 뼈마디의 끝을 미려혈(尾閭穴)이라고 한다. 또는 용호혈(龍虎穴), 조계로(曹溪路), 삼분로(三?路), 하거로(河車路), 조천령(朝天嶺), 상천제(上天梯)라고도 한다. ○ 미려혈(尾閭穴)이 있는 곳의 등뼈의 꼭대기는 동금(潼金)과 같이 동그란데 그 위에는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안팎이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 여기를 바로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한다. ○ 척추골의 양쪽에 3줄기의 통로가 있는데 이것은 위로 올라가서 곧바로 정수리에 있는 이환궁(泥丸宮)에까지 갔다가 위로 돌아내려와서 단전(丹田)에까지 갔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미려혈에 연락된다. ○ 미려혈이 바로 하관(下關)이다. 아래로부터 18번째 뼈마디가 있는 곳이 중관(中關)이며 이환궁은 상관(上關)이다. 이것이 3관(三關)이다[정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가슴(胸)] 음심통(飮心痛) 1016
[가슴(胸)] 식심통(食心痛) 1140
[가슴(胸)] 계심통(悸心痛) 1161
[가슴(胸)] 풍심통(風心痛) 718
[가슴(胸)] 주심통(?心痛) 919
[가슴(胸)] 충심통(蟲心痛) 947
[가슴(胸)] 심통에는 9가지가 있다[心痛有九種] 883
[가슴(胸)] 가슴앓이[心痛]와 위완통의 원인은 다르다[心痛與胃脘痛病因不同] 733
[가슴(胸)] 맥 보는 법[脈法]/가슴 578
[가슴(胸)] 장부의 경맥은 모두 격막을 지나간다[臟腑經脈皆貫膈] 544
[가슴(胸)] 가슴의 위치[胸膈部位] 607
[가슴(胸)] 가슴의 치수[胸膈度數] 519
[가슴(胸)] 가슴(胸膈)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 뜻[胸膈之名有義] 606
[잔등(背)] 침뜸치료[鍼灸法]/등 621
[잔등(背)] 단방(單方)/등 610
[잔등(背)] 귀배(龜背) 670
[잔등(背)] 곱사등[背??] 628
[잔등(背)]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814
[잔등(背)] 등이 아픈 것[背痛] 1703
[잔등(背)] 등이 시린 것[背寒] 1075
[잔등(背)] 등은 가슴 속의 상태가 나타나는 곳이다[背爲胸府] 631
[잔등(背)] 맥 보는 법[脈法]/등 529
[잔등(背)] 등[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706
[잔등(背)]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背脊骨節有數] 566
[목(頸項)] 침뜸치료[鍼灸法]/목 554
[목(頸項)] 단방(單方)/목 513
[목(頸項)]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545
[목(頸項)] 목에 힘이 없는 것[項軟] 803
[목(頸項)] 목이 뻣뻣한 것[項强] 1258
[목(頸項)] 목의 부위[頸項部位]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