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등(背)

침뜸치료[鍼灸法]/등

한닥터 2011.08.12 조회 수 621 추천 수 0
◎ 鍼灸法 ○ 脊?强痛取人中[綱目] ○ 肩背疼取手三里[綱目] ○ 背痛連胛取五樞崑崙懸鍾肩井及胛縫穴在背端骨下直腋縫尖及臂取二寸半瀉六吸[綱目] ○ 背疼乃作勞所致惟膏?爲要穴或背上先疼遂牽引肩上而疼者乃膏?爲患當灸膏?兪及肩井可愈[資生]

☞ 침뜸치료[鍼灸法]/등

 ○ 등뼈가 뻣뻣하고 아픈 데는 인중혈(人中穴)에 놓는다[강목]. ○ 어깨와 등이 아픈 데는 수삼리혈(手三里穴)에 놓는다[강목]. ○ 등에서부터 어깻죽지(脾)까지 아픈 데는 오추(五樞), 곤륜(崑崙), 현종(懸鍾), 견정(肩井) 혈과 갑봉(胛縫, 이 혈은 견갑골쪽으로 견봉 끝에서 곧추 팔로 2치 5푼 내려가서 잡는데 여섯번 숨쉴 동안 사한다)혈을 쓴다[강목]. ○ 등이 아픈 것은 지나치게 피로해서 생기는 것인데 이런 데는 고황혈(膏?穴)이 중요하게 쓰인다. 혹은 등에서 먼저 아프기 시작하여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은 고황에 병이 든 것이므로 고황유혈(膏?兪穴)과 견정혈(肩井穴)에 뜸을 뜨면 나을 수 있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맥(脈)] 기경8맥(奇經八脈)/맥 626
[짐승(獸部)] 웅지(熊脂) 웅담(熊膽) 웅뇌(熊腦) 웅골(熊骨) 웅혈(熊血) 웅장(熊掌, 곰발바닥) 626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
[전음(前陰)] 산증은 주로 간이 주관한다[疝專主肝] 625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한 것[金刃傷] 625
[잡방(雜方)] 천문동주(天門冬酒) 625
[부인(婦人)] 임신이 되었는가를 시험하는 방법[驗胎法] 625
[물(水部)]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625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눈(眼)] 눈병에는 한증이 없다[眼病無寒] 624
[귀(耳)] 귀와 눈은 양기를 받아야 총명해진다[耳目受陽氣以聰明] 624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
[부인(婦人)] 해산 후의 두통[産後頭痛] 624
[새(禽部)] 황자계육(黃雌鷄肉) 624
[귀(耳)] 수양하는 방법[修養法]/귀 623
[코(鼻)] 단방(單方)/코 623
[한(寒)]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傷寒變熱] 623
[한(寒)] 상한양궐(傷寒陽厥) 623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
[머리털(毛髮)] 12경맥과 털이 많고 적은 것[十二經毛髮多少] 622
[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622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잔등(背)] 침뜸치료[鍼灸法]/등 621
[전음(前陰)] 단방(單方)/전음 621
[적취(積聚)] 침뜸치료[鍼炙法] 621
[곡식(穀部)] 얼미(蘖米, 조길금)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