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腹)

단방(單方)/배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590 추천 수 0
◎ 單方 ○ 凡十四種

☞ 단방(單方)/배

 ○ 모두 14가지가 있다. 

◈ 鹽 ○ 腹脹痛?悶欲死極鹹鹽湯頓服一二椀吐下卽定[本草]
☞ 염(鹽, 소금) ○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트직하고 답답해서 죽으려고 할 때 몹시 짜게 끓인 소금물 1-2사발을 단번에 먹여서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면 진정된다[본초]. 

◈ ?中熱灰 ○ 治心腹冷痛和醋?之冷則易[本草]
☞ 조중열회(?中熱灰, 아궁이 속의 뜨거운 재) ○ 가슴과 배가 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식초로 개어 찜질하되 식으면 갈아 댄다[본초]. 

◈ 磁石 ○ 鐵氣入腹作痛以磁石杵爲末鋪?席睡其上再以磁石煎湯調小調氣散服之效
☞ 자석(磁石) ○ 쇠 기운[鐵氣]이 배에 들어가서 아플 때에는 자석을 가루를 내어 자리 밑에 펴고 그 위에서 자게 하고 또 자석을 달인 물에 소조기산을 타 먹이면 낫는다. 

◈ 芍藥 ○ 治腹中 痛以此爲君甘草爲佐煎服之 ○ 能治血虛腹痛氣分諸痛不宜用也[丹心]
☞ 작약(芍藥, 작약) ○ 뱃속에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를 주약[君]으로 하고 감초를 좌약[佐]으로 하여 달여 먹는다. ○ 열이 허하여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좋으나 기로 인한 여러가지 통증에 쓰는 것은 나쁘다[단심]. 

◈ 乾薑 ○ 治脾冷腹痛嘔吐炒薑三錢甘草灸半錢右?棗一枚同煎服或爲末和飮服[直指]
☞ 건강(乾薑) ○ 비(脾)가 차서 배가 아프고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볶은 것) 12g, 감초(볶은 것) 2g을 썰어서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 艾葉 ○ 心腹惡氣作痛?取汁飮之乾則濃煎服之[本草]
☞ 애엽(艾葉, 약쑥잎) ○ 나쁜 기운으로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짓찧어 낸 약쑥잎(애엽)의 즙을 마신다. 마른쑥이면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 桔梗 ○ 主腹中滿痛?取濃煎服之[本草]
☞ 길경(桔梗, 길경) ○ 뱃속이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썬 길경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 丁香 ○ 止腹中冷痛?取水煎服或爲末點湯服[本草]
☞ 정향(丁香) ○ 뱃속이 차서 아픈 것을 멎게 한다. 썬 정향을 물에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끓인 물에 타 먹는다[본초]. 

◈ 吳茱萸 ○ 主腹痛不可忍水煎服之[本草]
☞ 오수유(吳茱萸) ○ 배가 참을 수 없이 아픈 데 주로 쓴다. 오수유를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厚朴 ○ 主腹痛脹滿雷鳴薑製水煎服或爲末薑湯點服[本草]
☞ 후박(厚朴) ○ 배가 아프고 불러 올라 그득하며 몹시 끓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즙으로 법제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생강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본초]. 

◈ 桂皮 ○ 治腹內冷痛不可忍煎服末服竝良秋冬腹痛非桂不能止[湯液]
☞ 계피(桂皮) ○ 뱃속이 차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계피를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 가을과 겨울에 배가 아픈 데는 계피가 아니면 멈출 수 없다[탕액]. 

◈ 川椒 ○ 主腹內冷痛取四十九粒漿水浸一宿令口合空心以井水呑下[本草]
☞ 산초(山椒, 산초) ○ 뱃속이 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산초 49알을 신좁쌀죽웃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입에 물고 우물물로 빈속에 삼킨다[본초]. 

◈ ?白 ○ 主腹冷痛濃煎湯飮之又細切和鹽炒熱?之良[俗方]
☞ 총백(?白, 파밑) ○ 배가 차서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진하게 달여 먹거나 또는 잘게 썰어서 소금을 두고 뜨겁게 볶아 찜질하여도 좋다[속방]. 

◈ 狗肉 ○ 治脾胃冷弱腹中刺痛肥狗肉半斤以椒薑鹽醬煮粥喫良[本草]
☞ 구육(狗肉, 개고기) ○ 비위(脾胃)가 차고 약하여 뱃속이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살찐 개의 고기 300g에 후추, 생강, 소금, 간장 등을 두고 끓여 먹으면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8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소아(小兒)] 흑함(黑陷) 704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변비(便秘) 648
[소아(小兒)]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623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가렵고 아픈 것[痒痛] 767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소아(小兒)] 경휵(驚?) 601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