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930 추천 수 0
◎ 腰爲腎府 ○ 腰者腎之府轉搖不能腎將憊矣[內經] ○ 腰者腎之外候一身所恃以轉移開闔者也然諸經貫於腎絡於腰脊雖外感內傷種種不同必腎虛而後邪能湊之故不可純用凉藥亦不可純用參?補氣也[入門]

☞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 허리는 신(腎)에 속한 부(府)이므로 허리를 잘 돌리지 못하는 것은 신에 병이 생긴 것이다[내경]. ○ 허리에는 신장의 상태가 나타난다. 온몸이 허리의 힘을 빌려 움직이고 구부렸다 폈다 한다. 그러므로 모든 경맥은 신을 거쳐서 허리와 등뼈에 연락되었다. 비록 외감(外感)과 내상병(內傷病)은 같지 않지만 반드시 신이 허해야 침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순전히 성질이 찬약만을 쓰지 말며 또 순전히 인삼, 황기 등 기를 보하는 약만을 써도 안 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정(精)] ☞ 도인법(導引法)㈜/정 833
[눈(眼)] 눈에는 장부의 정기가 나타난다[眼爲臟腑之精] 833
[이빨(牙齒)] 이빨이 누렇거나 거멓게 된 것[齒黃黑] 833
[목구멍(咽喉)] 물고기 가시가 목에 걸린 것[魚骨?] 833
[습(濕)] 습기가 몸에 침습하여도 잘 깨닫지 못한다[濕氣侵人不覺] 833
[오장육부(五臟六腑)] 단방(單方)/5장6부 832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꿈(夢)] 잠자는 것을 음양과 허실로 가른다는 것[睡辨陰陽虛實] 829
[대변(大便)] 풍설(風泄) 829
[채소(菜部)] 와거(??, 상추) 829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곡식(穀部)] 출미(?米, 찰기장쌀) 828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잡방(雜方)] 복령조화고(茯?造化?) 827
[물고기(魚部)]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827
[한(寒)] 괴증(壞證) 826
[부인(婦人)]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826
[소아(小兒)] 골증열(骨蒸熱) 826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이빨(牙齒)] 이빨에 병이 생기면 찬 것과 뜨거운 것을 싫어한다[齒病惡寒惡熱] 825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적취(積聚)] 식적병(息積病) 825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5
[꿈(夢)] 양기(陽氣)가 드나드는[出入] 데 따라 자거나 깨어난다[陽氣之出入爲寤寐] 824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해독(解毒)] 박새뿌리중독[藜蘆毒] 824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下乳汁] 824
[풀(草部)] 당귀(當歸) 823
[전음(前陰)] 퇴산(?疝) 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