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腰)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1202 추천 수 0
◎ 濕熱腰痛 ○ 平日膏粱厚味之人腰痛皆是濕熱陰虛[綱目] ○ 濕熱腰痛者遇天陰或久坐而發者是也[丹心] ○ 脈緩或沈是濕腰痛[丹心] ○ 濕熱腰痛實者二炒蒼栢散(方見足部)虛者七味蒼栢散或當歸拈痛湯(方見足部)如諸藥不效用三花神祐丸(方見下門)或?腎散下之[入門]

☞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 평소에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은 사람이 허리가 아픈 것은 다 습열이나 음허(陰虛)로 생긴 것이다[강목]. ○ 흐린 날씨를 만나거나 오랫동안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픈 것은 습열로 생긴 것이다[단심]. ○ 습으로 허리가 아프면 맥이 완(緩)하거나 침(沈)하다[단심]. ○ 습열로 허리가 아픈데 실증[實]이면 이초창백산(二炒蒼栢散, 처방은 발문[足門]에 있다)을 쓰며 허증[虛]이면 칠미창백산이나 당귀점통탕(當歸拈痛湯, 처방은 발문[足門]에 있다)을 쓴다. 만일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을 때에는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처방은 설사문[下門]에 있다)이나 외신산으로 설사시킨다[입문]. 

? 七味蒼栢散 ○ 蒼朮黃栢杜?破故紙川芎當歸白朮各一錢右?作一貼空心水煎服[入門]
☞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 창출, 황백, 두충, 파고지, 천궁, 당귀, 백출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 ?腎散 ○ 治水濕停蓄作腰痛甘遂末三錢猪腰子細批破着少鹽椒淹透?藥在內以荷葉包?慢火?熟空心細嚼溫酒送下無荷葉則用濕紙[子和]
☞ 외신산(?腎散) ○ 수습(水濕)이 쌓여서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돼지콩팥(猪腰子)을 잘게 쪼갠 다음 소금과 후추를 조금 넣어 잦아들면 감수가루 12g을 그 속에 뿌려 넣고 연잎으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서 데운 술로 빈속에 먹되 잘 씹어 먹는다. 연잎이 없으면 젖은 종이를 써도 된다[자화].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요통 by 한닥터
  2. 임상 경험방 안면홍조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수적(水積)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습열(濕熱)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설사시키는 약[下藥] by 한닥터
  8. 동의보감 퇴산에 쓰는 약[?疝藥]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수산에 쓰는 약[水疝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심통(飮心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복음(伏飮)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현음(懸飮)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70. 當歸拈痛湯(당귀점통탕)(당귀념통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이초창백산(二炒蒼栢散)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당귀점통탕(當歸拈痛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외신산(?腎散)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by 한닥터
  25. 임상 경험방 습열 각기 종통 - 당귀점통탕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당귀점통탕 - 當歸拈痛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혈(血)] 피오줌[尿血] 1487
[혈(血)] 피똥[便血] 1916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간장(肝臟)]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1852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5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6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이빨(牙齒)]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1216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이빨(牙齒)] 벌레가 먹어서 이빨이 아픈 것[蟲蝕痛] 1304
[옆구리(脇)] 협통에는 5가지가 있다[脇痛有五] 903
[옆구리(脇)] 식적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食積脇痛] 900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상한음증(傷寒陰證) 1631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3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내상(內傷)] 조잡증(?雜證) 2346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1
[적취(積聚)]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1582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제상(諸傷)] 매맞아 상한 것[杖傷] 885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부인(婦人)]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産後泄痢] 589
[부인(婦人)] 해산 후의 허로[産後虛勞] 884
[부인(婦人)] 임신 때 두루 쓰는 약[姙娠通治]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