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腰)

단방(單方)/허리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805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二種有固陽丹?腎丸

☞ 단방(單方)/허리

 ○ 모두 22가지인데 고양단, 외신환이 들어 있다 

◈ 磁石 ○ 補腎治腰痛火?醋?九次爲末水飛作丸服或入補腎藥皆佳[本草] ○ 腎虛腰不利宜用[本草]
☞ 자석(磁石, 지남석) ○ 신(腎)을 보하며 요통을 치료한다. 자석을 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아홉번 하여 가루를 낸다. 그 다음 수비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보신약에 넣어 먹어도 좋다[본초]. ○ 신허(腎虛)로 허리를 잘 쓰지 못하는 데도 좋다[본초]. 

◈ ?絲子 ○ 治腰痛膝冷酒煮作末溫酒下二錢 ○ 又兎絲子牛膝各一兩酒浸五日曝乾爲末酒糊丸服 ○ 又兎絲子末二兩杜?蜜灸末一兩山藥末酒煮爲糊作丸酒下五七十丸名固陽丹[本草]
☞ 토사자(兎絲子, 토사자) ○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시린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달여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데운 술로 먹는다. ○ 토사자, 우슬 각각 40g을 5일 동안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 토사자가루 80g과 두충(봉밀을 발라 구워 가루를 낸 것) 40g을 산약@)가루에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 이것을 고양단(固陽丹)이라고 한다[본초]. 

◈ 牛膝 ○ 除腰脊痛煮汁飮或酒浸服竝良又取嫩葉和米醬空心作粥服[本草]
☞ 우슬(牛膝, 우슬)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우슬을 달여 즙을 내서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술을 먹어도 좋다. 또한 연한 잎을 따서 쌀과 장을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기도 한다[본초]. 

◈ 石斛 ○ 治腰痛脚弱煮服末服浸酒服皆佳[本草]
☞ 석곡(石斛) ○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약한 것을 치료한다. 석곡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술을 마셔도 좋다[본초]. 

◈ ?藜子 ○ 治腰脊痛爲末蜜丸服或作末和酒服竝佳[本草]
☞ 질려자(?藜子, 남가새열매)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남가새열매를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를 내어 술을 타 먹어도 좋다[본초]. 

◈ 肉?蓉 ○ 主腰痛作丸服之[本草]
☞ 육종용(肉?蓉) ○ 요통을 치료하는데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 續斷 ○ 主腰痛煮服末服竝佳[本草]
☞ 속단(續斷) ○ 요통을 치료한다. 속단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 ○ 主 腰痛酒浸服之 ○ 又??三兩杜?一兩?爲末空心酒服二錢禁食牛肉[本草]
☞ 비해(??) ○ 갑자기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우러난 술을 마신다. ○ 또 비해 120g, 두충 40g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약을 먹을 때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威靈仙 ○ 治腰痛生爲末酒調二錢服[丹心] ○ 又方細末二錢猪腰子一隻批藥在內濕紙??熟早晨細嚼熱酒下[綱目] ○ 又酒浸爲末?糊和丸梧子大酒下八十丸至百丸大便下靑膿是效也[本草]
☞ 위령선(威靈仙, 위령선) ○ 요통을 치료한다. 위령선를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는다[단심]. ○ 또 한가지 방법은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쪼갠 돼지콩팥[猪腰子] 속에 뿌리고 젖은 종이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서 이른 새벽에 뜨거운 술로 잘 씹어 먹는다[강목]. ○ 또한 술에 담갔다가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200알씩 술로 먹는다. 대변에 퍼런 고름 같은 것이 나오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본초]. 

◈ 牽牛子 ○ 治腰痛下冷膿 ○ 半生半炒取頭末一兩入硫黃一分同硏分三服每一服白?一匙水和捏作碁子五更初以水一盞煮熟連湯送下只一服痛止[綱目]
☞ 견우자(牽牛子, 견우자) ○ 허리가 아프고 대변에 찬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견우자(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아서 맏물가루를 낸다) 40g에 유황 0.4g을 넣고 함께 갈아서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 매번 먹을 때마다 밀가루 1숟가락을 물로 개어 약가루를 속에 넣고 바둑씨만하게 만든다. 이 약을 물 1잔에 넣고 달여 익혀서 새벽에 물까지 먹는다. 한번 먹으면 통증이 멎는다[강목]. 

◈ 破故紙 ○ 治腰痛神妙炒爲末酒下二錢[本草]
☞ 파고지(破故紙) ○ 요통이 신기하게 낫는다. 파고지를 볶아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로 먹는다[본초]. 

◈ 五加皮 ○ 治腰脊痛及 腰痛細?酒浸服之[本草]
☞ 오가피(五加皮)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과 허리가 갑자기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가피를 잘게 썰어서 술에 담갔다가 우러난 술을 마신다[본초]. 

◈ 杜仲 ○ 治腰脊痛及 腰痛又治腎勞腰脊攣[本草] ○ 薑汁炒爲末空心酒下一錢 ○ 又一兩炒去絲浸二升酒中每服三合日三服[綱目]
☞ 두충(杜仲)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과 허리가 갑자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신로(腎勞)로 허리와 등뼈가 오그라드는 것도 치료한다[본초]. ○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 ○ 또한 두충 40g을 실이 없어지도록 볶아서 술 2되에 담가 두고 그 술을 한번에 3홉씩 하루 세번 마신다[강목]. 

◈ 橘核 ○ 治腰痛微炒去殼爲末空心酒下二錢良[本草]
☞ 귤핵(橘核, 귤씨) ○ 요통을 치료한다. 약간 볶아서 꺼풀을 버리고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본초]. 

◈ 胡桃 ○ 治虛損腰痛取肉和杜?茴香浸酒空心服[入門]
☞ 호도(胡桃, 호두) ○ 허손(虛損)으로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호두살을 두충, 회향과 함께 술에 담갔다가 우러난 술을 빈속에 마신다[입문]. 

◈ ?仁 ○ 主腰脊痛爲末煮粥空心服[入門]
☞ 검인(?仁, 검인)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검인을 가루를 내어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입문]. 

◈ 胡麻 ○ 治腰痛熬令香爲末以酒飮蜜湯薑湯調下三錢日三服卽永差[本草]
☞ 호마(胡麻, 참깨) ○ 요통을 치료한다. 참깨를 고소하게 볶아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술이나 미음, 봉밀물이나 생강을 달인 물에 타 먹되 하루 세번 먹으면 다시 도지지 않는다[본초]. 

◈ 鹿茸 ○ 主腰脊痛?灸紫色去毛爲末每日空心溫酒下一錢[本草]
☞ 녹용(鹿茸)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녹용(솜털을 훔쳐 버리고 졸인 젖을 발라 자줏빛이 나도록 구운 것)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날마다 따뜻한 술로 빈속에 먹는다[본초]. 

◈ 鹿角 ○ 除腰脊痛熬黃爲末溫酒一盃調一錢日二服[本草]
☞ 녹각(鹿角) ○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녹각을 누렇게 구워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두번 데운 술 1잔에 타 먹는다[본초]. 

◈ 羊脊骨 ○ 治腰痛轉搖不得脊骨一具槌碎爛煮和五味食之因飮酒少許[本草]
☞ 양척골(羊脊骨, 양의 등뼈) ○ 허리가 아파서 몸을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양의 등뼈 1대를 부스러뜨려 푹 삶은 다음 양념을 두고 먹고 나서 술을 조금 마신다[본초]. 

◈ 黃狗肉 ○ 煖腰膝止痛取淨肉和五味煮熟空心食之[本草]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의 고기) ○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한다. 개고기를 푹 삶아서 양념을 두고 빈속에 먹는다[본초]. 

◈ 猪腎 ○ 治腎虛腰痛取腰子一枚薄批以椒鹽末淹過?杜?末三錢在內包以荷葉或濕紙慢火?熟以酒嚼下名曰?腎丸[入門] ○ 又方童便二盞好酒一盞腰子一對盛磁缸黃泥封口日晩以慢火養熟至中夜待五更初以火溫之發甁飮酒食腰子此以血養血絶勝金石草木之藥[入門]
☞ 저신(猪腎, 돼지콩팥) ○ 신허(腎虛)로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돼지콩팥(腰子) 1개를 얇게 썰어서 후추와 소금가루를 두고 재운다. 그 다음 속에 두충가루 12g을 뿌리고 연잎이나 젖은 종이로 싸서 약한 잿불에 묻어 구워 익혀서 술로 씹어 먹는다. 이것을 외신환(?腎丸)이라고 한다[입문]. ○ 또 한가지 방법은 물 2잔, 좋은 술 1잔, 돼지콩팥 1쌍을 사기단지에 같이 넣고 진흙으로 아가리를 싸 바른 다음 저녁부터 밤중까지 약한 불에 삶아서 새벽 4시경 다시 불에 데워 단지를 헤치고 국물을 마시면서 콩팥을 먹는다. 이것은 혈로 혈을 보하는 것이며 광물성 약이나 식물성 약보다 훨씬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잔등(背)]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814
[새(禽部)] 계자(鷄子, 달걀) 814
[오줌(小便)]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813
[오줌(小便)] 고병백음(蠱病白淫) 813
[손(手)] 손발이 트는 것[手足?裂] 813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얼굴(面)] 얼굴에 5가지 빛이 나타나는 것[面見五色] 810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입과 혀(口舌)] 설태가 낀 것[舌上生胎] 809
[머리털(毛髮)] 단방(單方)/모발 809
[오줌(小便)] 마신 뒤에 곧 소변이 나오는 것[飮後卽小便] 808
[근(筋)] 12경맥에는 다 경근이 있다 808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소변이 달다[消渴小便甛] 808
[목소리(聲音)] 숨쉴 때 소리가 나는 증상[息有音] 807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얼굴(面)] 얼굴에 나타나는 나쁜 증상[面部凶證] 807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오장육부(五臟六腑)] 창자의 길이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양[腸胃之長水穀之數] 806
[부인(婦人)] 태아를 여위게 해서 낳기 쉽게 하는 것[瘦胎令易産] 806
[허리(腰)] 단방(單方)/허리 805
[허로(虛勞)] 맥 보는 법[脈法] 805
[혈(血)] 혈병(血病)의 길흉(吉凶)[血病吉凶] 804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804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얼굴(面)] 얼굴의 도수[面部度數] 804
[배꼽(臍)] 연제법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煉臍延壽] 804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