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구리(脇)

협통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해야 한다[脇痛分左右]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635 추천 수 0
◎ 脇痛分左右 ○ 左脇痛先以琥珀膏貼痛處(方見積聚)却以當歸龍?丸熱薑汁呑下[入門] ○ 左脇痛宜枳芎散或小柴胡湯加川芎靑皮草龍膽[正傳] ○ 右脇痛宜推氣散或枳殼散(方見上)以生薑靑皮?白煎湯調下或用神保元[得效]

☞ 협통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해야 한다[脇痛分左右]

 ○ 왼쪽 옆구리가 아플 때에는 먼저 호박고(琥珀膏, 처방은 적취문(積聚門)에 있다)를 아픈 곳에 붙이고 당귀용회환을 뜨거운 생강즙으로 먹는다[입문]. ○ 왼쪽 옆구리가 아플 때에는 지궁산이나 소시호탕에 천궁, 청피, 용담초 등을 더 넣어 쓴다[정전]. ○ 오른쪽 옆구리가 아플 때에는 추기산이나 지각산(枳殼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생강과 청피, 파밑(총백)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 혹은 신보원을 쓴다[득효]. 

? 枳芎散 ○ 治左脇肋刺痛枳實川芎各五錢甘草二錢半右爲末每二錢薑棗湯調下[入門]
☞ 지궁산(枳芎散) ○ 왼쪽 옆구리가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지실, 천궁 각각 20g, 감초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 推氣散 ○ 治右脇痛枳殼桂心薑黃各五錢甘草二錢半右爲末每二錢半薑棗湯或酒調下[入門]
☞ 추기산(推氣散) ○ 오른쪽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지각, 계심, 강황 각각 20g, 감초 1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0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이나 술에 타 먹는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9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