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구리(脇)

신에 있는 사기가 위로 치밀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腎邪上薄爲脇痛]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631 추천 수 0
◎ 腎邪上薄爲脇痛 ○ 一人患脇痛衆以爲癰陽脈弦陰脈?投諸香薑桂之屬益甚項昕見之曰弦者痛也?者腎邪有餘也腎上薄於脇不能下且腎惡燥今服燥藥過多非得利不愈先用神保元下黑?痛止更服神芎丸或疑其太過昕曰向用神保元者以腎邪透膜非全蝎不能引導然巴豆性熱非得硝黃蕩滌後遇熱必再作乃大泄數次病遂愈[入門]

☞ 신에 있는 사기가 위로 치밀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腎邪上薄爲脇痛]

 ○ 어떤 환자가 옆구리가 아프면서 양맥(陽脈)이 현(弦)하고 음맥(陰脈)이 색(?)하였다. 여러 의사들은 옹(癰)이라 하면서 생강, 계피 등 여러 가지 방향성 약으로 치료하였으나 병이 더 악화되었다. 항흔(項昕)이 보고 "현맥은 아픈 것이고 색맥은 신(腎)에서 사기가 성한 것이다. 신에 있는 사기가 옆구리로 치받치면서 잘 내려오지 않고 또 신은 마른 것을 싫어하는데 지금 또 마른 성질의 약을 많이 썼으니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서 낫지 않는 것이다"고 하고 먼저 신보원을 써서 검은 빛의 오줌이 나오고 아픈 것이 멎은 다음 또 신궁환을 먹게 하였다. 혹 보는 사람들은 약 기운이 너무 세지 않는가 하고 의심하였다. 항흔이 말하기를 "신보원을 쓴 것은 신(腎)의 사기가 막 속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전갈이 아니면 끌어낼 수 없다. 그리고 파두는 성질이 몹시 더운약이므로 대황과 망초로 확 씻어 내지 않으면 후에 열을 만나면 반드시 도질 수 있다"고 하고 이어 몇 번 설사를 세게 시키니 병은 곧 나았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피부(皮)] 자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紫?風方] 773
[피부(皮)] 전풍(?風), 역양풍(?瘍風), 백철(白?) 1126
[피부(皮)] 색택증(索澤證) 1194
[피부(皮)] 마목(麻木) 5603
[피부(皮)] 단독(丹毒)/피부 1186
[피부(皮)]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 1406
[피부(皮)] 은진(?疹) 1673
[피부(皮)] 반진의 예후[?疹吉凶證] 721
[피부(皮)] 반진이 돋으려는 증후[發?候] 962
[피부(皮)]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920
[피부(皮)] 음증의 반진[陰證發?] 1 881
[피부(皮)] 피부가 가렵고 아픈 것[痒痛] 1607
[피부(皮)] 맥 보는 법[脈法]/피부 618
[피부(皮)] 풍한의 사기는 먼저 피모로 들어온다[風寒之邪先入皮毛] 670
[피부(皮)] 피부와 털은 폐에 속한다[皮毛屬肺] 709
[피부(皮)] 피부에는 부분이 있다[皮有部分] 645
[옆구리(脇)]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546
[옆구리(脇)] 단방(單方)/옆구리 546
[옆구리(脇)] 누액(漏液) 533
[옆구리(脇)] 암내[腋臭] 730
[옆구리(脇)] 비기증(肥氣證) 577
[옆구리(脇)] 식적증(息積證) 609
[옆구리(脇)] 신에 있는 사기가 위로 치밀어서 옆구리가 아픈 것[腎邪上薄爲脇痛] 631
[옆구리(脇)] 협통은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해야 한다[脇痛分左右] 635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옆구리(脇)] 건협통(乾脇痛) 891
[옆구리(脇)] 풍한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風寒脇痛] 897
[옆구리(脇)] 식적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食積脇痛] 900
[옆구리(脇)] 담음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痰飮脇痛] 1303
[옆구리(脇)] 어혈로 옆구리가 아픈 것[死血脇痛] 1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