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구리(脇)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546 추천 수 0
◎ 鍼灸法 ○ 脇痛取懸鐘竅陰外關三里支溝章門中封陽陵泉行間期門陰陵泉[綱目] ○ 脇幷胸痛不可忍取期門章門行間丘墟涌泉支溝膽兪[綱目] ○ 胸脇脹痛取公孫三里太衝三陰交[綱目] ○ 腰脇痛取環跳至陰太白陽輔[綱目] ○ 脇肋痛取支溝外關曲池[綱目] ○ 兩脇痛取竅陰大敦行間[內經]

☞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 옆구리가 아픈 데는 현종(懸鍾), 규음(竅陰), 외관(外關), 삼리(三里), 지구(支溝), 장문(章門), 중봉(中封), 양릉천(陽陵泉), 행간(行間), 기문(期門), 음릉천(陰陵泉)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옆구리와 가슴이 아파서 견딜 수 없는 데는 기문, 장문, 행간, 구허(丘虛), 용천(涌泉), 지구, 담유(膽兪)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가슴과 옆구리가 부어 오르면서 아픈 데는 공손(公孫), 삼리, 태충(太衝), 삼음교(三陰交)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허리와 옆구리가 아픈 데는 환도(環跳), 지음(至陰), 태백(太白), 양보(陽輔)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옆구리가 아픈 데는 지구, 외관, 곡지(曲池)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양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규음, 대돈(大敦), 행간 등의 혈을 잡는다[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頸項)] 목의 부위[頸項部位] 546
[옆구리(脇)] 단방(單方)/옆구리 546
[옆구리(脇)]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546
[발(足)]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546
[해독(解毒)] 멀구슬나무중독[苦練毒] 546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물(水部)]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546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7
[배(腹)] 충으로 배가 아픈 것[蟲腹痛] 547
[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547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7
[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547
[물(水部)] 급류수(急流水) 547
[전음(前陰)] 한산(寒疝) 548
[한(寒)] 양명병의 음결과 양결[陽明病陰陽結] 548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근(筋)] 무릎은 힘줄이 모이는 곳이다[膝爲筋府] 549
[창만(脹滿)] 맥 보는 법[脈法] 549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9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
[눈(眼)] 양검점정(兩瞼粘睛) 55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550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