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皮)

자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紫?風方]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773 추천 수 0
◎ 治紫?風方 ○ 官粉五錢硫黃三錢右爲末鷄子淸調?[醫鑑]

☞ 자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紫?風方]

 ○ 연분 20g, 유황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달걀 흰자위로 개어 바른다[의감]. 

? 加減何首烏散 ○ 治紫白?風及?瘍風白??疹疥癬等疾何首烏蔓荊子石菖蒲荊芥穗苦參威靈仙甘菊枸杞子各等分右爲末每三錢蜜茶調下[綱目]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자전풍, 백전풍, 역양풍, 백철, 은진, 옴, 버짐 등을 치료한다. ○ 하수오, 순비기열매(만형자), 석창포, 형개수, 고삼,위령선, 단국화, 구기자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봉밀을 둔 찻물에 타 먹는다[강목]. 

? 如聖膏 ○ 歌曰紫?白?兩般風附子硫黃最有功薑汁調勻茄??擦來兩度更無? ○ 右附子硫黃等分爲末以茄??醋點藥末擦之紫?用紫茄白?用白茄[得效] ○ 丹溪方用白附子
☞ 여성고(如聖膏) ○ 노래에는 "자전풍과 백전풍에 부자 유황 제일일세. 생강즙에 고루 섞어 가지꼭지 약을 묻혀 두번쯤만 발라 주면 다시는 도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 부자와 유황을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낸다. 식초에 적신 가지꼭지로 약가루를 묻혀 바른다. 자전풍에는 붉은 가지를 쓰고 백전풍에는 흰 가지를 쓴다[득효]. ○ 단계의 처방에는 노랑돌쩌귀를 썼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잔등(背)]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814
[새(禽部)] 계자(鷄子, 달걀) 814
[오줌(小便)]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813
[오줌(小便)] 고병백음(蠱病白淫) 813
[손(手)] 손발이 트는 것[手足?裂] 813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얼굴(面)] 얼굴에 5가지 빛이 나타나는 것[面見五色] 810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입과 혀(口舌)] 설태가 낀 것[舌上生胎] 809
[머리털(毛髮)] 단방(單方)/모발 809
[오줌(小便)] 마신 뒤에 곧 소변이 나오는 것[飮後卽小便] 808
[근(筋)] 12경맥에는 다 경근이 있다 808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소변이 달다[消渴小便甛] 808
[목소리(聲音)] 숨쉴 때 소리가 나는 증상[息有音] 807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얼굴(面)] 얼굴에 나타나는 나쁜 증상[面部凶證] 807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화(火)] 화는 원기의 적이다[火爲元氣之賊] 807
[오장육부(五臟六腑)] 창자의 길이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양[腸胃之長水穀之數] 806
[부인(婦人)] 태아를 여위게 해서 낳기 쉽게 하는 것[瘦胎令易産] 806
[허리(腰)] 단방(單方)/허리 805
[허로(虛勞)] 맥 보는 법[脈法] 805
[혈(血)] 혈병(血病)의 길흉(吉凶)[血病吉凶] 804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804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얼굴(面)] 얼굴의 도수[面部度數] 804
[배꼽(臍)] 연제법으로 오래 살게 하는 것[煉臍延壽] 804
[화(火)] 장부의 열을 판단하는 부위[審臟腑熱之部分] 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