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皮)

단방(單方)/피부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787 추천 수 0
◎ 單方 ○ 凡三十二種

☞ 단방(單方)/피부

 ○ 모두 32가지이다. 

◈鹽湯 ○ 治一切風痒鹽一斗水一石煎減半溫浴三次 ○ 浴痒無如鹽濃煎湯浴身最妙[綱目] ○ 海水浴尤妙[俗方]
☞ 염탕(鹽湯, 소금 끓인 물) ○ 여러 가지 풍증[風痒]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소금 1말을 물 10말에 두고 끓여 절반쯤 줄면 따뜻하게 해서 세번 목욕한다. ○ 가려움증 때 목욕하는 데는 소금보다 나은 것이 없다. 목욕은 진하게 달인 소금물로 하는 것이 제일 좋다[강목]. ○ 해수욕을 하면 더 좋다[속방]. 

◈ 赤土 ○ 治風疹瘙痒不可忍爲末冷水調服二錢又蜜水調塗[本草]
☞ 적토(赤土, 붉은 흙) ○ 풍진(風疹)으로 참을 수 없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붉은 흙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찬물에 타 먹는다. 또한 봉밀물에 타서 바르기도 한다[본초]. 

◈ 石灰 ○ 治白??瘍風以石灰汁溫洗之 ○ 卒發?疹石灰和醋漿水塗之隨手卽減[本草]
☞ 석회(石灰) ○ 백전풍(白?風)과 역양풍(?瘍風)을 치료한다. 석회즙을 따뜻하게 하여 씻는다. ○ 갑자기 은진(?疹)이 돋았을 때 석회를 신좁쌀죽(醋漿水)으로 개어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 半天河水 ○ 治白?取水洗之?桂屑和唾付?上日再[本草]
☞ 반천하수(半天河水, 나뭇구멍이나 왕대그루에 고인 빗물) ○ 백철(白?)을 치료한다. 이 물로 그곳을 씻고 계피를 가루를 내어 물로 갠 다음 하루에 두번씩 백철이 난 곳에 바른다[본초]. 

◈ 芒硝 ○ 主一切疹水煮塗之焰硝亦可[本草]
☞ 망초(芒硝) ○ 일체 반진을 치료한다. 망초를 물에 달여 바른다. 염초도 좋다[본초]. 

◈ 硫黃 ○ 治紫白?風硫黃一兩醋煮一日海??二箇竝爲末浴後以生薑?藥熟擦數度絶根[得效]
☞ 유황(硫黃) ○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한다. 유황(풍화된 것을 식초에 두고 하루동안 달인 것) 40g과 오징어뼈(오적골) 2개를 한데 가루를 내어 목욕한 뒤에 생강쪽에 약가루를 묻혀 여러 번 잘 문지르면 완전히 낫는다[득효]. 

◈ ?蔚莖葉 ○ 主?疹痒濃煎湯浴之[本草]
☞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의 줄기와 잎) ○ 은진(?疹)으로 가려운 데는 진하게 달인 물로 목욕한다[본초]. 

◈ 藍葉汁 ○ 主風疹及丹毒飮之塗之竝佳[本草]
☞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 풍진(風疹)과 단독(丹毒)을 치료한다. 마시거나 바르거나 다 좋다[본초]. 

◈ ?藜子 ○ 主風痒及白?風煮湯服之兼浴之[本草]
☞ 질려자(?藜子, 남가새열매) ○ 풍으로 가려운 데와 백전풍에 쓴다. 달여 먹기도 하고 씻기도 한다[본초]. 

◈ 景天 ○ 主?疹惡痒?取汁付塗之[本草]
☞ 경천(景天, 꿩의 비름) ○ 은진으로 몹시 가려운 데는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본초]. 

◈ 茵蔯 ○ 主遍身風痒生瘡疥煮膿汁洗之[本草]
☞ 인진(茵蔯, 더위지기) ○ 온몸이 풍으로 가렵고 헌데가 난 것을 치료한다. 인진@)를 진하게 달여 씻는다[본초]. 

◈ 蒼耳 ○ 主婦人風瘙?疹身痒不止取花葉子等分爲末豆淋酒調下二錢[本草]
☞ 창이(蒼耳, 도꼬마리) ○ 부인이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으로 몸이 계속 가려운 데 쓴다. 꽃과 잎, 열매를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두림주(豆淋酒)에 타 먹는다[본초]. 

◈ 苦參 ○ 主遍身風熱細疹痒痛不可忍苦參末一兩?角二兩水一升?濾取汁銀石器熬膏和丸梧子大食後溫水下三五十丸次日便愈[本草]
☞ 고삼(苦蔘, 너삼) ○ 풍열(風熱)로 온몸에 아주 작은 두드러기가 돋아서 참을 수 없이 가렵고 아픈 데 쓴다. 너삼가루 40g, 조협(조각) 80g을 물 1되에 넣고 비벼서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고약처럼 졸인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끼니 뒤에 먹으면 다음날에는 낫는다[본초]. 

◈ 牛蒡子 ○ 主皮膚風熱遍身生?疹瘙痒牛蒡子浮萍等分爲末以薄荷湯調下二錢日二服[本草]
☞ 우방자(牛蒡子, 우엉씨) ○ 피부에 풍열이 있어 온몸에 은진이 나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우엉씨(대력자)와 개구리밥(부평초)을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박하를 달인 물에 8g씩 타서 하루 두번 먹는다[본초]. 

◈ 蘿摩草 ○ 主白?風取莖中白汁付上?令破三度差[本草]
☞ 나마초(蘿摩草) ○ 백전풍에 쓴다. 줄기 속의 흰 즙을 세번만 바르면 낫는다[본초]. 

◈ 夏枯草 ○ 主紫白?風濃煎湯日洗數次[丹心]
☞ 하고초(夏枯草, 봉밀풀) ○ 자전풍과 백전풍에 쓴다. 봉밀풀을 진하게 달인 물로 하루 여러 번 씻는다[단심]. 

◈ 芭蕉油 ○ 治遊風風疹丹毒取油塗之[本草]
☞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 유풍(遊風), 풍진(風疹), 단독(丹毒) 등을 치료한다. 진을 내어 바른다[본초]. 

◈ ?? ○ 治風瘙?疹身痒濃煎湯浴之卽差[本草]
☞ 삭조(??, 말오줌나무) ○ 풍으로 가려운 것과 은진이 돋아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오줌나무를 진하게 달인 물로 목욕하면 곧 낫는다[본초]. 

◈ 羊蹄根 ○ 治?瘍風取根於生鐵上以好醋磨旋旋刮取塗之更入硫黃末少許尤妙[本草]
☞ 양제근(羊蹄根, 소루쟁이뿌리) ○ 역양풍(?瘍風)을 치료한다. 뿌리를 캐어 철판 위에 놓고 좋은 식초를 치면서 갈아낸 즙을 바른다. 유황가루를 조금 넣으면 더욱 좋다[본초]. 

◈ 凌?花 ○ 治遍身風痒?疹爲細末酒下一錢立止[丹心]
☞ 능소화(凌?花) ○ 온몸이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것을 치료한다. 능소화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으면 낫는다[단심]. 

◈ 柳木中蟲屑 ○ 主風瘙痒?疹取屑煮湯浴之大效[本草]
☞ 유목중충설(柳木中蟲屑, 버드나무의 좀똥) ○ 풍으로 가렵거나 은진이 돋은 데 쓴다. 물에 달여 목욕하면 낫는다[본초]. 

◈ 樺皮 ○ 主肺風毒身痒煮湯服之[本草]
☞ 화피(樺皮, 봇나무껍질) ○ 폐의 풍독(風毒)으로 몸이 가려운 데 쓴다. 봇나무껍질을 달여 먹는다[본초]. 

◈ 露蜂房 ○ 治風氣瘙痒不止蜂房灸過蟬?等分爲末酒調一錢服日二三[本草]
☞ 노봉방(露蜂房, 말벌집) ○ 풍으로 계속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말벌집(구운 것)과 선퇴(선태)를 같은 양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하루 두세번 먹는다[본초]. 

◈ ?? ○ 治赤白遊疹以生布擦疹令破取??汁塗之[本草]
☞ 제조(??, 굼벵이) ○ 적유진(赤遊疹)과 백유진(白遊疹)을 치료한다. 생베로 헌데를 문질러 껍질이 약간 벗겨지게 한 다음 굼벵이의 즙을 바른다[본초]. 

◈ 鰻?魚 ○ 主風瘙痒及白??瘍風燒灸長食之又火灸取油塗之[本草]
☞ 만려어(鰻?魚, 뱀장어) ○ 풍으로 가려운 것과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장어를 구워 늘 먹는다. 또는 불에 구워 기름을 내어 바르기도 한다[본초]. 

◈ 蛇? ○ 主白?白??瘍風燒末醋調付之或煎汁塗之[本草]
☞ 사태(蛇?, 뱀허물) ○ 백전풍, 백철, 역양풍을 치료한다. 뱀허물을 구워 가루를 낸 다음 식초로 개어 바른다. 뱀허물을 달인 물로 바르기도 한다[본초]. 

◈ ?? ○ 主?瘍風取路中死??杵爛常?令熱封之[本草]
☞ 강랑(??, 말똥구리) ○ 역양풍(?瘍風)에 주로 쓴다. 길가에서 죽은 말똥구리를 짓찧어 뜨겁게 하여 붙인다[본초]. 

◈ 白花蛇 ○ 治暴風瘙痒及身生白??瘍風斑點取肉爲末酒服一二錢烏蛇尤效[本草]
☞ 백화사(白花蛇) ○ 갑자기 풍으로 가려운 것과 몸에 백전풍, 역양풍, 얼룩점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백화사의 살을 발라 가루를 낸 다음 4-8g씩 술에 타 먹는다. 검은 뱀이 더욱 좋다[본초]. 

◈ 丹雄鷄冠血 ○ 治白?風?瘍風取血塗之[本草]
☞ 단웅계관혈(丹雄鷄冠血, 붉은 수탉볏의 피) ○ 백전풍과 역양풍을 치료한다. 그 피를 바른다[본초]. 

◈ ?? ○ 治風瘙及白??瘍風可灸食之[本草]
☞ 발합(??, 집비둘기) ○ 풍으로 가려운 것, 백전풍, 역양풍을 치료한다. 집비둘기 고기를 구워 먹는다[본초]. 

◈ 牛酪 ○ 主丹?疹取酪和鹽熟煮以摩之卽消[本草]
☞ 우락(牛酪, 졸인 젖) ○ 붉은 은진을 치료한다. 졸인 젖(酪)에 소금을 조금 넣어 끓인 다음 바르면 곧 낫는다[본초]. 

◈ 鷄卵 ○ 治紫白?風取生卵一枚用醋浸一宿以鍼刺小穿滴淸洋爲汁入砒?幷菉豆末少許和勻用石擦破靑布?藥擦之[得效]
☞ 계란(鷄卵, 달걀) ○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한다. 달걀(생것) 1개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바늘로 찔러서 흰자위를 뺀 다음 비상과 녹두가루를 조금씩 넣어 고루 섞어서 돌로 전풍을 문질러 껍질이 벗겨진 다음 쪽물 들인 천에 약을 묻혀 문지르면 낫는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794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3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3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5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0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5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58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30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32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1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5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9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9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