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筋)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한닥터 2011.08.23 조회 수 568 추천 수 0
◎ 足太陽之筋 ○ 起於足小指上結於?斜上結于膝其別者結于?上?中結于臀上挾脊上項其支者入結舌本其直者結于枕骨上頭下顔結于鼻其支者爲目上綱下結于? ○ 其病小指支?腫痛?攣脊反折項筋急肩不擧治在燔鍼劫刺以知爲數以痛爲愈[靈樞]

☞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 이 경근은 새끼발가락에서 시작하여 바깥 복사뼈로 올라가 얽힌 다음 비스듬히 올라가 무릎에서 얽혀 있다. 한가닥은 바깥 복사뼈에서 장딴지를 거쳐 오금으로 올라가 얽힌다. 그 다음 엉덩이에서 얽히고 등뼈를 끼고 목덜미에까지 올라간다. 여기서 한가닥은 속으로 들어가 혀뿌리에서 얽혀 있다. 곧바로 올라간 가지는 침골(枕骨)에서 얽힌 다음 정수리에 올라갔다가 얼굴로 내려와 코에 와서 얽힌다. 한가닥은 눈두덩의 위쪽으로 내려와 얽혔다가 또 광대뼈에서 얽힌다. ○ 이 경근이 병들면 새끼발가락과 바깥쪽 발뒤축이 부어 아프며 오금이 저리고 등뼈가 젖혀지며 목덜미의 힘줄이 땅기고 어깨를 들지 못한다. 치료는 화침[燔鍼]으로 반응이 있을 때까지 세게 찌르면 아픈 것이 낫는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눈(眼)] 천곽(天廓) 567
[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567
[젖(乳)] 유현증(乳懸證) 567
[심병(審病)] 잡병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증상[雜病占死候] 567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
[괴질(怪疾)] 눈앞에 5가지 빛이 나는 물건이 보이는 것[眼見五色物] 56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근(筋)]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568
[발(足)]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568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8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용약(用藥)] 처방을 요약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約方猶約囊] 569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내상(內傷)] 음식으로 내상이 된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吐] 569
[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569
[귀(耳)] 치료하지 못하는 증[不治證]/귀 570
[창만(脹滿)] 창만은 진장병이다[脹滿乃眞臟病也] 570
[제창(諸瘡)]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外治法] 570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1
[충(蟲)] 노채의 병증[勞?病證] 571
[맥(脈)] 맥은 혈과 기보다 앞선다[脈者血氣之先] 571
[전음(前陰)] 기산(氣疝) 571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기가 부족한 방위[天地不足之方] 571